[전시] 목간으로 본 선조의 실생활

부여박물관서 '목간 특별전' 개최

목간(木簡)이란 나무에 먹으로 글을 쓴 목편(木片)을 말한다. 주로 삼국시대에 종이와 함께 보편적으로 사용된 기록물이어서 당시의 실생활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역사자료로 취급된다. 하지만, 워낙 오래전에 제작된 것이라 보존 등의 이유로 좀처럼 일반인들이 보기 어려운 문화유산 중 하나였다.

 

국내에서 목간을 주제로 한 전시회가 처음으로 열린다. 그동안 일부 특별전이나 상설전의 곁가지로 일부 목간이 전시된 적이 있지만, 목간만을 주제로 전시회가 열리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문화재청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국립부여박물관과 함께 19일부터 내달 28일까지 국립부여박물관 제3전시실에서 '나무 속 암호, 목간' 특별전을 개최한다.

 

함안 성산산성, 경주 월성해자(月城垓子) 출토 목간 등 신라목간 200여점과 부여 관북리 목간 등 백제목간 50여점, 태안과 신안 앞바다에서 건져 올린 고려목간 30여점, 인천 계양산성에서 나온 논어목간 3점 등이 공개된다.

 

이 밖에 최근 출토된 뒤 사진 자료로만 공개된 부여 쌍북리 출토 좌관대식기(佐官貸食記)목간, 그리고 나주 복암리 출토 백제목간과 평양 정백동 출토 낙랑목간의 복제품 등도 전시된다.

 

이주헌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연구관은 "전시되는 목간은 대부분 처음으로 일반 공개되는 것들"이라며 "빛에 상할 염려가 있기 때문에 전시된 유물들을 교체하는 방식으로 전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국립부여박물관의 이용현 학예연구사도 "목간을 주제로 한 특별전은 이전에도 없었고, 아마 앞으로도 없을 것"이라며 "목간의 향취를 느낄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