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오전 천신일 세중나모여행사 회장의 사전 구속영장을 청구키로 하면서 수사 막바지를 향해 가던 검찰이 예상치 못한 대형 변수를 만났기 때문이다.
검찰 수뇌부는 노 전 대통령의 서거 소식을 접하자마자 정확한 사망 경위를 확인하라고 지시하는 한편 오전 11시30분부터 검사장급 이상의 대검 간부들을 모두 소집해 긴급회의를 열었다.
김경한 법무부 장관도 오전 10시부터 실국장 전원과 회의를 하고 있으며 곧 입장을 발표할 예정이다.
검찰은 노 전 대통령의 갑작스런 서거가 향후 수사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분석하면서 '판세'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노 전 대통령의 서거가 검찰에 엄청난 역풍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우려하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박연차 게이트' 수사가 사실상 노 전 대통령을 겨냥한 수사였다는 점에서 여론이 동정론으로 쏠려 수사를 진행해온 검찰에 부메랑으로 돌아갈 수도 있다는 점을 경계하고 있는 것.
전직 대통령에 대한 수사를 무리하게 밀어붙여 결과적으로 노 전 대통령의 사망이라는 결과를 불러온 것 아니냐는 비판에 직면할 수 있다는 점도 검찰을 긴장하게 하는 요인이다.
임채진 검찰총장은 이날 오전 긴급히 대검찰청 청사로 출근해 노 전 대통령의 서거에 대해 애도의 견해를 밝히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노 전 대통령이 뒷산에서 뛰어내렸다는 문재인 변호사의 발표에 따라 자살로 확인되면서 그 배경을 두고 다양한 추측이 나오고 있다.
노 전 대통령은 지난달 홈페이지를 통해 스스로 정치적 사망선고를 한 데 이어 검찰에 소환조사를 받으면서 괴로운 심경을 여러 차례 비친 바 있다.
그동안 검찰 수사에 대해 모르쇠로 일관하던 노 전 대통령이 모종의 '진실'이 밝혀지기에 앞서 극약 처방을 택한 것일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검찰이 불구속 기소에 무게를 두면서 구속영장 청구 여부에 신중한 행보를 보였고 노 전 대통령 자신도 피의자의 권리를 주장하며 맞서던 와중이어서 극단적인 선택에 이유가 있을 것이라는 해석을 낳고 있다.
노 전 대통령이 소환조사를 받은 이후 미국의 아파트 구매와 관련한 새로운 의혹이 또다시 불거져 겹겹의 도덕적 비난에 직면한 상황이라는 점도 자살의 배경이 됐을 가능성이 높다.
게다가 검찰 수사로 강금원 창신섬유 회장과 정상문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 이광재 민주당 의원 등 노 전 대통령의 '심복'들이 줄줄이 철창신세를 지게 됐다는 점도 노 전 대통령에게 상당한 짐이 됐을 것이라는 분석이 유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