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에 따르면 이번달 중순 현재 완산구 70·덕진 38개로 모두 108개의 커피 취급업소가 주택가·사무실 밀집지역 등 곳곳에서 성업 중이다. 업소의 위치에 따라 중년층이 소비자의 30% 이상을 차지한다. 시간대별로 주간에는 중년층, 저녁시간에는 가족단위, 저녁 이후에는 젊은층을 중심으로 소비가 이뤄진다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중년층의 커피전문점 선호 요인은 이들이 테이크아웃을 하지 않는다는 특성에서 찾을 수 있다. 과거 다방문화처럼 만남의 편리함과 현재 전문점의 세련된 인테리어 등을 고려하면 중년층에게는 적당한 가격으로 다가왔기 때문이다.
28일 전주시 중화산동의 J·L·T 등의 커피전문점에는 20~50대까지 다양한 연령의 시민이 삼삼오오 모여 있었다. 이날 남자 동료와 T커피전문점을 찾은 김모씨(35)는 "일주일에 1~2번 오는데 고객과의 약속장소로도 무난해 애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주시 서신동 A업소의 직원(21)은 "중년층 중 일부는 셀프서비스가 익숙하지 않아 '주문을 받으라'거나 '그냥 커피를 달라'고 한다"면서 "대부분의 중년층은 커피맛이 아닌 분위기 때문에 커피전문점을 찾는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