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의 요구에 직접 대응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청와대는 다만 내부적으로는 "노 전 대통령의 장례가 아직 완전히 마무리되지 않은 상황에서 정치 공세를 하는 것은 고인의 뜻에 맞지 않는다"는 의견을 정리한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고인의 유지가 화합과 국민 통합을 이뤄달라는 취지인데 삼우제도 안 끝난 상황에서 정치 공세로 나오는 것은 적절치 않다"면서 "이는 고인의 뜻과는 맞지 않는 것"이라고 말했다.
과거 노 전 대통령의 탈당을 요구했던 인사들이 다수 포함된 민주당이 노 전 대통령의 서거를 계기로 공세에 나서는 것은 이율배반적이라는 비판도 나왔다.
한 핵심 참모는 "노 전 대통령의 탈당을 압박했던 사람들이 상황이 바뀌었다고 조문 정치를 하는 것은 지나치게 이율배반적이고 정략적인 행동"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또 "경제가 어렵고 북핵 사태까지 겹친 상황에서 정치적 이유로 국정을 흔드는 것은 국익에도 도움이 안 된다"고 말했다.
한편, 청와대는 한나라당 안상수 원내대표가 대통령 및 3당 교섭단체 원내대표-정책위의장 회담을 건의한 것과 관련해서는 "모두 만나서 대화하는 것은 좋은 일"이라며 긍정적인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