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예상을 뛰어넘은 토지임대료 인상안에 대해선 "황당하다"며 북한의 진짜의도가 무엇인지 파악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북한이 너무 강한 요구를했다.
임금도 황당하지만 토지 임대료는 더욱 황당하다"면서 "그런 요구는 못 받는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 쪽으로 공을 넘기고 판을 걷어치우려는 것인지 아니면 다른 의도가있는 것인지 잘 모르겠다"면서 "북한이 지나치게 강한 카드를 들고 나온 만큼 실질적 의도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청와대 내부에선 일단 북한이 일방적이고 다소 과격한 자세를 보였던 1차 실무회담 때와 비교해 이번 2차 회담에선 긍정적인 태도 변화가 있었다는 점에 주목하고있다.
이런 태도로 볼 때 북한이 개성공단 문제와 관련해 협상을 이어갈 의지를 갖고 있다는 게 청와대 측의 분석이다.
이에 따라 청와대는 통일부 등 관계 부처와 머리를 맞대고 다음 협상에서 더 진전된 상황을 만들기 위한 카드를 마련하느라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현재 청와대가 개성공단 문제를 둘러싼 교착 상태를 풀기 위한 핵심 열쇠로 지목하는 부분은 북한의 토지 임대료 5억 달러 인상 요구다.
이 문제를 잘 해결하지못하면 협상이 성공하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있다.
북한에 억류된 현대아산 직원 유 모 씨의 무사귀환 여부가 우리 측으로선 가장중요한 문제이긴 하지만 북측에서도 유 씨 문제를 극단적으로 끌고 가는 것이 협상에서 실익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잘 아는 만큼 결국 관건은 토지 임대료의 수준이 될 것이라는 관측인 셈이다,다른 고위 관계자는 "북한도 유씨 문제를 해결해줘야 꼬인 실타래가 풀린다는것을 안다"면서 "우리로선 토지 임대료 문제를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정보당국에 따르면 북한이 현재 군사적으로는 특별한 동향을 보이지 않고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보당국 핵심 관계자는 "현재는 특별한 게 없지만 북한이 서해에서 도발할 가능성을 가장 우려하고 있다"면서 "현재로선 서해에 미사일을 발사할지 여부는 예측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한미 정상회담 기간에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발사할 수도 있다는 일각의 관측에 대해서는 가능성을 매우 낮게 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