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와 한나라당 일각의 여권쇄신 요구가 불거지면서당.정.청 인적개편 문제가 관심사로 떠오른 이후 이 대통령이 이와 관련한 언급을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KBS1라디오, 교통방송(TBS.TBN), 동영상 공유사이트 '유튜브' 등을 통해 전국에 방송된 제17차 라디오.인터넷 연설문을 통해 "최근 일련의사건을 겪으면서 국민 여러분들께서 마음이 혼란스럽고 또한 이런 저런 걱정이 크신줄로 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청와대 홈페이지 자유게시판에도 평소보다 10배이상의 의견이 올라와 저 자신이 꼼꼼하게 챙겨보고 있다.
언론에 투영된 의견이나 시중의 여론도 경청하고 있다"며 "변화를 바라는 다양한 목소리를 잘 녹여내서 국가발전과 정치발전의 좋은 계기로 삼을 수 있도록 지혜를 모았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다만 "민심은 여전히 이념과 지역으로 갈라져 있다.
권력형 비리와부정부패는 끊임 없이 되풀이된다.
상대가 하면 무조건 반대하고 보는 정쟁의 정치문화도 좀처럼 사라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한 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겠다고 했지만 사실 별로 달라진 것은 없다.
이런 고질적인 문제에는 대증요법보다는 근원적인 처방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또한 이 대통령은 "다행스러운 것은 우리경제가 터널의 끝에서 희미하나마 불빛이 보이기 시작했다는 점"이라며 "그러나 아직 안심할 때는 아니다.
이번 위기가 우리만 잘 한다고 풀릴 수 있는 것도 아닌데다 아직도 안팎으로 불확실한 요인이 많기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서민을 보호하고 중산층을 키우는 것이야말로 진정으로 국민통합을 이루는 길임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며 "지금까지도 서민정책에 가장 큰 신경을 써왔지만 앞으로도 더욱 그렇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일부 감세정책 때문에 정부가 부자를 위한 정책을 쓴다는 비판도있지만 사실 이 정부 들어와서 추진한 감세의 70% 가까운 혜택이 서민과 중소기업에돌아가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