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변산국립공원 실태파악 나서

속보= 과도한 지정면적으로 지역주민들의 재산권 행사 및 새만금 특수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변산반도 국립공원 구역조정이 시급한 것으로 촉구되고 있는 가운데 환경부 관계자가 최근 현지 실태파악을 벌였다.

 

이 과정에서 변산반도 국립공원을 관리하고 있는 국립공원관리공단 측에서 생태적 가치가 낮아진 부안 하서~격포간 도로 해안쪽을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 김낙빈 자연관리과장은 지난 18일 부안을 방문, 변산반도 국립공원 현황과 여론 등을 국립공원 관리공단 관계자로부터 청취했다는 것.

 

환경부 관계자의 현지방문은 김완주 도지사와 김호수 부안군수가 이에앞서 지난 12일 환경부를 방문해 변산반도 국립공원 전체 면적의 8.5%인 13.2㎢정도를 제척해줄 것을 요구한 직후 이뤄졌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국립공원 관리공단 변산반도 사무소측은 환경부 관계자에게 "하서~격포간 국도 30호선 4차선 확포장공사가 기존 노선보다 내륙안쪽으로 이뤄지면서 국립공원지역이 단절되어 공원관리에 어려움이 많고 도로 서편 해안쪽은 보전해야 할 것등이 특별한 게 없는등 생태적 가치가 낮다"고 피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어 "새만금관광산업과 변산 해수욕장 개발 활성화 등을 위해 하서~격포 도로 바같쪽 지역을 국립공원지역에서 해제해 녹지공간 등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는 입장을 드러냈다는 것.

 

한편 변산반도 국립공원 지정면적은 154.6㎢로 부안군 전체면적의 30%를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세계 최장의 새만금 방조제의 올연말 전면개통을 앞두고 관광산업활성화를 위해 숙박·음식점·주차장 시설 등 연계지원및 편익시설 확충이 절실한 실정에서 발목을 잡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