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실용의 기치 아래 대국민 소통을 강화함으로써 이념·지역·계층간 분열과 갈등을 치유하고 국민 통합을 이루겠다는 '근원적 처방'의 밑그림이 점차 가시화되는 모습이다.
이 대통령은 29일 정례 라디오연설에서 대선 공약이었던 한반도 대운하 건설을 임기 중에 포기하겠다고 선언하는 동시에 생계형 운전자들에 대해서는 특별 사면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2주 전 라디오연설을 통해 분열, 부정부패, 정쟁 등을 '고질적 문제'로 지적하면서 "대증요법보다 근원적 처방이 필요하다"는 화두를 던진 이후 사실상 처음으로 내놓은 구체적 해법이다.
무엇보다 이 대통령이 여론이 좋아질 때까지 유보하겠다고 했던 임기 중 대운하건설을 포기한 의미는 각별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이동관 대변인은 "대통령은 지금도 대운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아직도 대운하 반대 여론이 적지 않고 꼭 추진해야 하는 '4대강 살리기'마저대운하와 연계해 의구심을 갖거나 정쟁 도구화하는 양상인 만큼 정리하는 게 좋다고보고 결단을 내린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이 민생 사범의 특별사면을 추진키로 한 점도 역시 민생 챙기기를 통해 국민 통합을 구현한다는 차원이다. 특사 시기는 광복절인 8월15일이 될 것으로 알려졌다. 일단 대상으로 '생계형 운전자'만 언급됐지만 일반사면이 아닌 특사인 점을 감안할 때 민생 사범 전체로 그 범위가 넓어질 수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처럼 8.15 대사면설이 수면 위로 부상한 것과 관련, 결국 이 대통령의 '근원적 처방' 구상이 광복절에 맞춰 전모를 드러내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나온다.
7월 초·중순 이 대통령의 유럽 순방 전에 1단계 처방전을 발표하고, 순방 후 2단계를 내놓은 뒤 광복절에 마지막 3단계 방안을 발표하지 않겠느냐는 시나리오다.
특히 마지막 3단계 방안에는 국무총리 교체를 포함한 중폭 이상의 개각과 청와대 개편까지 포함될 것이라는 전망이 적지 않다. 한편 내달 초 30% 정도의 물갈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돼 온 청와대 행정관 인사와 관련, 이른바 'S라인(서울시청)' 출신 행정관의 절반가량을 원대복귀시키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