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청은 용담댐 하류 하천의 홍수피해 경감 및 댐의 홍수조절 능력 향상을 위해 총 413억원을 들여 진안 용담면 및 무주군 부남면 일원에서 용담댐 직하류 하천정비공사를 계획하고 있다.
4대강 살리기와 연계된 이 사업은 지난 3월 하천공사 시행계획 고시에 이어 5월 공사 착공절차를 밟았다.
이에 따라 이 공사를 대행받은 수공 측은 용담댐 직하류∼무주 부남면 대티제에 이르는 총 연장 8.6km 하천에 대해 계획 홍수위의 여유고(1.0∼1.5m)를 높이는 보축공사를 벌일 예정이었다.
하지만 1공구(송풍2제∼도소지구,대소2제) 가운데 송풍2제에 속한 감동마을 구간의 하천정비공사에 있어 해당 주민들이 일찌감치 집단 민원을 제기하면서 사업 실행이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다.
송풍2제 해당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는 제방보축시 마을 경관 훼손 및 하천변 진입 곤란, 내수위 증가로 인한 마을 침수, 그리고 통풍차단에 따른 농작물 피해 우려 때문이다.
이에, 수공 측은 가옥이 밀집한 (감동)마을 앞 210m 구간에 대해 보축 대신 투명 파라펫을 설치하고, 고수부지도 자연환경정비를 거칠 예정이지만, 이마저도 지역민들은 탐탁치 않게 여기고 있다.
이 때문에 착공 1개월 여가 지나도록 착공조차 못한 수공 측은 4월부터 주민설명회, 마을 현황조사 등을 거쳐 지난달 30일 진안군의회까지 찾아 이해를 구했지만 이렇다할 해답을 얻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일부 군의원들로부터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무시한 공사다. 보축대신 하상굴착하면 될 일 아니냐"는 등의 호된 질책만 사면서 당분간 사업 착공이 불투명해진 상황이다.
이와 관련 댐관리단 측은 "시뮬레이션을 통한 하상굴착 검토결과, 그 실효성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왔다"면서 "환경청 등 관계기관과 협의 후 주민들의 요구안을 적극 검토하겠다"는 원론적 입장만 전달했다.
한편 협의 이해관계에 놓인 진안군 측은 문제가 된 이번 사안과 관련, "수공과 주민 양 측에 수몰예정선에 속한 세대에 한해 홍수위선까지만 농경지 등을 매입하면 어떻냐"는 중재안을 내놓았으나 결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