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오후 제4회 한국지능로봇종합학술대회가 열리고 있는 대전 KAIST 창의학습관.
'기부천사'로 알려진 가수 김장훈씨가 로봇을 주제로 강연을 하기 위해 이곳을 찾았다.
노래부르는 연예인이 첨단 과학기술의 결정체인 로봇과 도대체 무슨 상관이 있을까 생각하면 큰 오산.
김 씨는 자신의 콘서트에서도 KAIST 오준호교수가 개발한 인간형 로봇인 '휴보'와 함께 공연을 하는가 하면, KAIST 학생들과 공연장비를 만들어 공연에 사용하고, 공연 수익금을 KAIST에 기부하는 등 과학기술계와 끈끈한 인연을 이어가고 있다.
"어릴적 꿈이 과학자였다"고 운을 뗀 김 씨는 "수만 관중 앞에서도 공연하는 제가 어릴적 선망했던 분들만 보면 가슴이 떨리는데 하나는 프로바둑기사이고 다른 하나는 과학자"라며 "과학이나 예술이나 방법은 다르지만 사람을 행복하게, 편안하게 해준다는 점에서 궁극적으로 같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김 씨는 특유의 유머도 잊지 않은 채 강연 내내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주도했다.
그는 "무대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앉은 관객들에게 내 모습을 가까이 보여주기 위해서라도 와이어를 매고 날아가고 싶었다"며 "그런데 무대기술자가 '전례'가 없어서 못하겠다며 고개를 '절레절레'흔들더라"고 뼈가 있는 농담을 던지기도 했다.
로봇과학에 대한 자신의 견해도 진지하게 피력했다.
그는 "로봇과학을 1-2년 눈앞의 가시적 성과만 기대하지 말고 순수과학처럼 꾸준히 투자를 해야한다"며 "눈앞에 성과가 나오지 않으면 조급증 때문에 지원을 끊는 상황이 벌어지지 않을까 답답하다"고 말했다.
김 씨는 특히 "힘이 들때 '세계 최초'로 '최강'의 무언가를 개발했다는 소식을 들으면, 이 작은 나라에서 최강의 수많은 기술을 일궈낸다는 생각에 정말 힘이 솟는다"며 "과학자로 살아가면서 서운함이나 어려움이 있겠지만 대한민국을 빛내달라"고 과학도들에게 당부의 말을 잊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