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산·무주권 광역상수도사업, 대의는 없고 이해만 난무

수공·용담반투위, 잔디구장 조성 등 물밑협상

금산·무주권광역상수도사업과 관련, 반대 입장을 견지해 온 진안군의회가 도지사 면담을 요청중인 가운데 이해관계가 얽힌 당사자들이 물밑협상을 벌인 사실이 밝혀져 '대의적 명분'에 흠을 사고 있다.

 

수공 금산·무주권 수도건설단에 따르면 지역민들의 반발에 부딪혀 난항을 겪고 있는 광역상수도 공급사업과 관련 '관로 매설시, 농로 대신 도로로 선형 변경' 등을 내심 바라는 용담면 반대투쟁위원회의 요구사항을 대부분 수용키로 내부 결정을 봤다.

 

상호 양측간 10여 차례에 걸친 협의를 통해 최근 잠정 확정된 이 논의안에는 댐 직하류 수변구역내 유휴지에 에 최소 20억원 이상의 예산을 들여 천연 잔디구장(축구·족구장)을 조성키로 한 대목도 포함돼 있다.

 

이 상호 약정안은 다음주로 예정된 주민설명회 등에서 해당 주민들의 뜻을 물은 뒤, 법적 효력이 있는 협약서 체결로 매듭이 지어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에 따라 수도건설단 측은 물밑 협약한 기존 노선변경과 이에 따른 측량조사 등 1개월 여에 가까운 검토기간을 거쳐 선결과제만 해결하면 사업진행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도단위 차원의 대응책 마련이 수립되는 과정에서 이해 당사자들간 물밑협상이 진행되고 있는 점과 물을 내주는 대신 얻는 보상지역이 용담면에 한정돼 있다는 점이 걸림돌로 작용할 우려가 크다.

 

실제, 도지사 면담과 함께 도단위 사회단체 등과 연계키로 했던 진안군의회 측은 "용담면 외 또 다른 수변구역 내 주민들에 대한 큰 틀의 보상없이는 사업 강행이 힘들지 않냐"는 입장을 밝혀왔다.

 

따라서 수도건설단 측이 사업 반대 선봉에 선 반투위는 아우렀을 지는 모르지만, 강행하려던 사업이 계획대로 진척될 지는 아직 미지수라는 공론이 지배적이다.

 

오히려 반투위 측은 대척점에 서 있는 수공 대신, 반대 선봉에 함께 섰던 군의원들을 설득해야하는 아이러니한 현실에 놓여 있게 된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이번 사안에 대해 송정엽 의장은 "무거운 짐을 딴데 떠넘기고 이해 당사자들끼리 협의를 벌인 자체가 어폐이며, 때문에 도지사 면담문제도 주민들과의 조율을 거쳐봐야 알 수 있지 않겠냐"며, 난감해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