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이모씨(23)는 부친의 갑작스런 병세 악화로 학자금 마련이 여의치 않아 금융권의 문을 두드렸다. 그러나 성적증명서 요구 등 자존심을 상하게 하는 까다로운 조건이 부담스러워 은행문을 박차고 나왔다. 우선 등록금을 마련해야 겠다는 급한 마음에 사채를 쓴 이씨는 높은 이자를 메꾸기 위해 2∼3개의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다.
이처럼 대부업 및 불법 사채로 내몰리는 저신용 개인이나 영세 자영업자들이 늘고 있는 가운데 금융소외자들에 대한 금융서비스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이를 위해 저축은행 등을 금융소외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중심은행으로 구축하기 위한 정부의 금리지원 등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관련, 지난 주 국회 금융정책연구회 세미나에서 KDI국제정책대학원 이건호교수는 "불법 사금융 척결에 대한 정부의 다각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가시적 성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면서 "서민금융전문 금융기관의 확고한 존립기반을 구축하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모든 금융기관이 적극적으로 서민금융을 확대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저축은행과 상호금융, 새마을금고 등에서 서민에 금융공급을 확대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에 따르면 2005년 6월부터 2007년 3월까지 제2금융권을 제외한 전 업권에서 저신용계층 대출 비중이 7.7%에서 5.2%로 줄었고, 제도권 금융기관을 이용하지 못하는 저신용계층도 500만명을 넘고 있다.
또 전체 금융기관 대비 서민금융기관의 여수신은 2007년 3월말 현재 17.3%(여신), 15.7%(수신)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3∼5월 금융위원회 등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사금융시장 규모는 16조 5000억원, 대부시장 규모는 10조원으로 추정되며 이용자는 189만여명으로 나타났다.
이 교수는 "결과적으로 담보력이 낮은 서민층의 제도권 금융기관 접근이 제한되면서 금리 기준으로 10-49% 사이의 여신금융시장에서 공백이 발생, 금융소외계층이 확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따라 "서민금융기관이 부담하는 신용리스크 경감을 위한 특별장치나 금리, 자금조달, 규제완화 등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에대해 도내 저축은행 관계자들도 "금융 소외자들의 10% 정도만 제2금융권을 이용하고 있고, 게다가 제도 금융권에서 소외된 사람들은 사금융의 높은 이자에 시달리고 있다"면서 "근본적으로 서민금융시장을 고유시장으로 하는 금융기관들의 안정적 성장이 가능하도록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