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협회 전북도회 관계자는 "농식품부 민승규 제1차관이 지역업체가 30% 이상 참여할 수 있다고 약속했지만 이는 약속일 뿐이다"면서 "경인운하처럼 방수제 공사에서도 막판에 1군 업체들이 가산점을 안받겠다고 했던 사례가 재연될 가능성을 배제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4대강 사업의 경우 관련법을 개정하면서 까지 지역업체 참여비율을 40%로 의무화했다"면서 "민 차관의 약속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이같은 제도적 장치를 하든지, 최소한 농어촌공사의 공식적인 약속이라도 뒷받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업계 일부에서는 더 강경한 목소리도 나온다. 관련 실무자들을 접촉해 보면, 민 차관의 발표와는 달리 농업용지 구간의 방수제 조차 아직 구체적으로 확정된 것이 없을 뿐 아니라, 지역업체 30% 이상 참여를 보장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지 않았다는 점 등이 이유로 제시된다.
이들은 정부의 확정 발표 내용에 따라선 협회 차원에서 항의 방문 등의 실력행사도 불사한다는 각오로 전략적인 대응책을 준비하는 등 대정부 압박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도내 업계 한 관계자는 "(새만금위원회) 내부적으로는 아직도 사업자체가 확정되지 않은가 하면, 공구도 축소되고, 발주시기도 내년까지 순차적으로 이뤄질 것이라는 말들이 흘러 나온다"면서 "사업 이행과 지역업체 참여를 위해선 실력행사라도 감행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