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 1년6개월만인 지난 16일, 태안을 다녀왔다. 태안 앞바다는 이미 예전의 청정해역의 이름값을 되찾은 듯 했다. 여름성수기를 맞아 관광객들이 넘쳐나고 항포구마다 인파가 몰렸다. 충남도가 지난 5월 태안지역 해수욕장 32곳 등에 대해 수질검사를 실시한 결과 모두 합격판정을 받았고, 18일에는 만리포해수장에서 제5회 국토해양부장관배 바다수영대회가 성황리에 개최되기도 했다. 이처럼 짧은 시간에 기름유출사고의 후유증을 극복한 사례는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다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하지만 아직도 주민들의 시름을 보듬어주기에는 부족한 게 적지않은 듯 싶었다. 충남도 관계자들도 정부차원의 후속조치가 미흡하다는 하소연을 꺼냈다.
서용제 서해안유류사고대책지원총괄본부장은 "정부에서 유류사고특별법을 제정한 지 1년이 훨씬 넘었지만 어장환경복원, 이미지개선사업 등 지역경제활성화 사업이 제대로 추진되지 못하고 있다"면서 "정부에서 내년도 충남지역 지역경제활성화 사업으로 63건(2022억원)을 발표만 해 놓고 예산편성은 자치단체에서 알아서 하라는 식"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서해안지역은 유류특별법에 의한 재난지역인데도 불구하고 정부에서 예산반영을 하지 않겠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면서 "국무총리가 위원장으로 있는 특별조정위원회에서 정부차원의 특별재정을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은배 태안군유류피해대책지원과 담당자는 "기름유출 사고 발생 1년6개월이 지나면서 해양생태계가 복원된 것처럼 보이지만 주민들의 실소득과 밀접한 어획량은 심각한 수준"이라면서 "IOPC 기금 보상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데다 정부차원의 지원이 미약하다 보니 태안주민들의 생계는 더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