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 퇴임한 고현철 대법관의 후임 대법관 후보자 4명에 포함됐으나 신영철 대법관에 밀려 고배를 들었던 정 법원장이 두 번째 대법관 도전에서 성공하면 15년 만의 전주지방법원장 출신 대법관의 맥을 잇게된다. 또 지난 2004년 8월 퇴임한 조무제 대법관 이후 끊어졌던 지역법관(향판) 출신 대법관의 명맥도 이어가게 된다.
전주지방법원장 출신으로는 초대 이우식 법원장이 대법관이 된 뒤 2대 변옥주, 6대 김홍섭, 7대 유재방, 9대 임항준, 10대 이일규, 21대 배석, 24대 윤관, 30대 이임수 법원장 등 모두 9명이 대법관이 됐다. 이 가운데 이일규·윤관 대법관은 대법원장까지 지냈다. 그동안 모두 42명의 법원장이 거쳐간 점을 감안할 때 10명중 2명 꼴(21.4%)로 대법관이 된 셈이다.
전남 강진 출신인 정갑주 법원장(43대)은 광주제일고와 서울대를 졸업한 뒤 82년 광주지법 판사로 첫 출발했으며 근무기간 대부분을 전남·북과 광주, 제주에서 보낸 지역법관이다. 지역법관 출신 대법관 후보라는 점과 14명의 대법관 가운데 전남 출신이 이용훈 대법원장 밖에 없다는 점 등이 유리한 점으로 꼽히고 있다.
전주지법의 한 판사는 "정 법원장은 재판의 자율권을 보장해 판사들이 스스로 의욕을 갖고 일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스타일"이라며 "영미법 연구회에서 함께 공부할 때는 폭넓고 깊은 학식에 놀랐다"고 말했다.
한편 대법관 제청자문위원회는 24일부터 오는 30일까지 후보자 추천을 받은 뒤 다음달 10일쯤 회의를 열어 복수의 대법관 후보자를 대법원장에게 추천하며, 대법원장은 이 가운데 1명을 대통령에게 임명 제청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