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시는 지난 4월 3일 새만금공동발전 범시민위원회(위원장 여홍구)발대식과 함께 시작한 새만금지구 합리적인 행정경계 재설정을 위한 서명운동에 돌입한 지 4개월만인 지난 12일 100만명이 서명에 동참했다고 14일 밝혔다.
김제시가 주장하는 새만금지구 합리적인 행정경계 재설정 논리는 출발 초기 전북도민의 희망인 새만금사업의 내부개발에 악영향을 끼친다, 소지역 이기주의라는 등 부정적인 여론도 만만치 않았으나 서명운동 이후 새만금지구 행정경계에 대한 인식을 명확히 하는 계기가 됐고, 새만금사업 전에는 37km이던 해안선이 단 1m도 없이 사라져 내륙도시로 전락하게 되는 김제시의 입장에 대해 많은 도민들이 공감하게 된 것으로 풀이된다.
김제시가 주장하는 새만금지구 합리적인 행정경계 설정은 시·군 간 경계설정의 기준이 되는 만경강과 동진강의 흐름에 따라 방조제 33km의 시·군 경계를 합리적으로 설정하고 매립지 또한 부안 앞은 부안에, 김제 앞은 김제로 설정해야 한다는 것.
이건식 시장은 "지난 7월23일 발표한 정부의 새만금 내부개발 종합실천계획안에서 제시한 Sha-Ring City, Full Moon City, Delta City 등 3개 디자인의 도시형태에 따른 공간배치를 보더라도 결국 김제시가 주장하는 바와 같이 하천(만경·동진강)의 흐름대로 자연스럽게 계획한 것을 알 수 있다"면서 "지금은 김제가 바닷길을 열어 미래 희망의 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역사의 명운을 건 중요한 시기로, 합리적으로 새만금 행정구역을 설정해 달라는 요구는 우리 김제시의 기본적인 권리를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요구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제시는 100만명이 서명한 서명부를 국무총리실을 비롯 행정안전부, 한국농어촌공사 등 관련 기관에 전달, 향후 분쟁조정에 대비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