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가장 흔한 질환은 냉방병과 관계된 것들이라 할 수 있다. 지나친 냉방으로 인한 감기 증상 뿐 아니라, 전신 무력감, 피로감, 차가운 음식 섭취로 인한 식중독, 복통, 설사 등이 가장 흔하다고 볼 수 있는 증상들이다. 관절염 환자는 이 시기에 통증이 더 심해지며 몸을 차게 함으로 인해 근육 경직이 많이 일어나므로 요통이나 염좌 등의 발생이 높아진다. 흔히 더위 먹었다고 하는 증상은 더운 날씨에 땀을 많이 흘리는 등 지나친 체액의 손상으로 전해질의 균형이 깨져 무기력, 식욕부진 등의 증상을 수반하는 증후군이다. 노약자나 어린아이, 다른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에는 잠시의 방심이나 부주의로 그냥 지나칠 때 더 큰 병을 초래할 수도 있으므로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아마도 여름을 가장 싫어하는 체질은 태음인이 아닐까 싶다. 태음인은 비교적 열성 체질이 많고 비만하기 쉬우며 땀이 많은 편이기 때문에 더위를 잘 견디지 못한다. 에어컨을 옆에 끼고 살기 때문에 그로인한 냉방병이나 호흡기 질환에 걸리기 쉽다. 태음인은 땀이 어느 정도는 나야 건강하기 때문에 몸을 너무 차게 하여 땀구멍을 막아 버리면 몸이 힘들어진다. 속에 있는 열이 배출되지 못해 혈압이 오르고 답답해질 수 있는 것이다. 적당한 운동으로 땀을 배출한 뒤 가벼운 샤워를 자주 하는 것이 좋으며 여름철 건강식으로는 콩국수, 한우와 버섯으로 요리한 음식을 추천하고 싶다.
소양인은 비교적 여름을 잘 견디는 체질이지만 추위를 잘 타고 허약한 소양인은 냉방에 아주 취약하여 요통, 관절염, 견비통 등의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한편, 속에 열이 많은 소양인은 매운 음식이나 지나친 음주, 과로 등으로 체액을 손상시켜 급격한 체력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소양인은 체액의 유지에 주의하며 적당한 휴식과 수면으로 체력의 소모를 줄이는데 관심을 가져야 한다. 특히 홍삼(인삼)같이 열성이 많은 약재를 장기 복용하지 않아야 한다. 소양인의 여름철 보양식은 민물 매운탕, 오리고기, 보리비빔밥, 열무냉면 등을 추천하고 싶다.
소음인은 속이 냉하고 기력이 약한 경우가 많아 여름 견디기가 쉽지 않다. 특히 찬바람을 직접 접촉할 경우 배가 아프고 소화가 안 되는 증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소음인은 지나치게 땀을 흘릴 경우 급격한 체력저하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항상 땀을 너무 많이 흘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적당한 보양식과 보약의 복용도 소음인의 여름철 체력 보강을 위해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음식은 찬 음식이나 너무 기름진 음식을 피하여 소화기에 부담을 주지 않아야 한다. 삼계탕, 추어탕 등을 추천하고 싶고, 혹 애호가라면 보신탕도 좋을 것 같다.
태양인의 경우 메밀로 만든 소바나 국수, 냉면 등이 여름철 좋은 음식이 된다.
/송정모 교수(우석대부속한방병원 사상체질과)
▲ 송정모 교수는
경희대한의학과 졸, 한의학박사(체질의학전공)
사상체질의학회 부회장
우석대 한의학과 교수
우석대부속 전주한방병원 체질·알레르기센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