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의 향기] 알랭 드 보통 '일의 기쁨과 슬픔' 이레 펴냄

일터에서 느끼는 보통 사람들의 감정

철저히 분업화한 직원들과 기계가 똑같은 비스킷을 대량으로 찍어내는 공장. 사방팔방 사각의 콘테이너 박스가 쌓인 항구. 인생의 방향을 잃은 구직자들이 줄 잇는 직업 상담소.

 

알랭 드 보통이 일상과 인생을 새롭게 발견하고 해석하는 철학적 글로 전 세계 독자들의 사랑을 받아온 작가이기는 하지만, 스트레스 덩어리인 일의 세계에서 철학이나 미학을 찾아내겠다니 얼핏 생각해도 무리가 아닐까 싶다.

 

그러나 그런 우려는 「일의 기쁨과 슬픔」(이레 펴냄)을 펼쳐 몇 장만 읽어도 금세 녹아 버린다. 이 책은 오히려 사랑이나 여행, 건축에 대한 알랭 드 보통의 전작들보다 더 쉽고 유익하며 열정적이다.

 

무엇보다 사회에 발을 내디딘 지 얼마 되지 않아 직업을 통한 자아실현이란 환상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는 현대인들의 아픈 곳을 제대로 짚어주고 다독이기 때문이다.

 

알랭 드 보통은 한국 독자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일하는 세계의 아름다움, 권태, 기쁨, 가끔 느껴지는 공포에 눈을 뜨게 해주는 책을 쓰고 싶었다"며 "일이 우리에게 삶의 의미를 줄 수 있다는, 그 엄청난 주장을 한번 파헤쳐 보고 싶었다"고 말했다.

 

그의 의도 그대로 이 책은 일에서 기쁨과 슬픔, 즉 '감정'을 찾아 나가는 여정을 담는다. 일의 의미란 거창한 담론에 근거해 증명하는 게 아니라 일터에서 느끼는 사람다운 감정을 통해 소박하고도 현실적으로 찾아 나가야 하는 것이다.

 

저자가 관심을 기울이는 대상은 우주로 위성을 쏘아 올리는 로켓 과학보다 비스킷 공장에서 반죽과 포장을 고민하는 사람들, 사람들의 소박한 동기를 자극하는 직업상담사와 같은 '어린이 책에 흔히 등장하지 않는' 직업인들이다.

 

아침 아홉 시부터 정오까지 공복감을 달래주는 간식거리를 만드는 비스킷 공장 일을 보자. 5천명이 6개 작업장에 나뉘어 매달리는 이 일이 '존재의 짐을 덜어주는 숭고한 일'은 아니다.

 

그러나 저자는 한 과자 공장의 공정을 오랫동안 지켜보면서 '공항 관제탑에서나 느낄 수 있을 법한 엄숙한 분위기'와 '병원을 운영하는 데 필요하다고 해도 좋을 만큼의 헌신과 자기 규율'이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그리고 보통은 일이란 사람들에게 거품에 불과한 희망일지라도 온 정신을 쏟도록 하며 특별한 감정과 품위를 안겨주는 존재라고 결론 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