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임진강 참사 "진상파악 대책마련"

"한치 소홀함없이 드러난 문제 철저히 점검하라"

이명박 대통령은 8일 북한측의 댐 방류로 임진강에서 민간인 6명이 실종.사망한 사태와 관련, "진상을 정확히 파악해 다시는 그런일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 도중 "무고한 국민 6명이 희생돼가슴이 아프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에게 "한 치의 소홀함 없이 이번에 드러난문제를 철저하게 점검하라"고 지시했다.

 

이와 관련, 김성환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은 이날 브리핑에서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고 분석중"이라고 밝혔다.

 

김 수석은 '북측의 수공(水功)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느냐'는 질문에 "더 분석을해봐야 정확한 의도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전제한 뒤 이같이 강조했다.

 

이는 북측이 지난 7일 '관계기관' 명의로 보내온 대남 통지문에서 "임진강 상류북측 언제(둑)의 수위가 높아져 긴급히 방류하게 됐다"고 해명한 것과 무관하게 북한의 '수공'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음을 확인한 것으로, 향후 우리 정부의 대응이 주목된다.

 

김 수석은 "당시 상황이 처음 보고된 것은 오전 8시 20분께로, 소방방재청이 구조하러 나갔다가 본부에 보고했고 본부가 청와대에 보고했다"면서 "보고받자마자 이대통령에게 보고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합동참모본부는 낮 12시 42분에 보고했다"면서 "합참에서는 물이 왜이렇게 늘어났는지에 대해 판단이 잘 서지 않은 것 같다"고 부연했다.

 

김 수석은 이어 "민간인 6명이 희생되는 사고가 발생한 점에 대해 안타깝게 생각한다"면서 "이번에 무인 자동경고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았는데 앞으로는 육안으로확인한 뒤 (상황을) 전파하는 시스템도 병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밖에 일각에서 이번 사안을 외교안보 문제로 판단하지 않았다는 지적이나오고 있는데 언급, "단순 재난으로 처리했다면 통일부가 나서지 않았을 것"이라며"그런 지적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