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플루가 발생한 고교 등 일부 학교에서는 신종플루의 확산을 학원과 연계시켜 의심하거나, 학원이 신종플루 확산의 거점이 될수도 있다는 사실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학원은 이 학교 저 학교에서 학생들이 오가기 때문에 플루의 감염이나 확산이 빠르지만 학교와는 달리 예방조치가 미흡하기 때문이다.
이같은 사실은 전주시교육청이 지난 4일 입시학원이나 외국어학원 등 규모가 큰 관내 30여개 학원을 대상으로 신종플루 대책을 현장 점검한 결과에서도 일부 드러났다. 교육청은 전 학원에 대해 3차례에 걸쳐 신종플루 대응책을 지시했으나 실태조사 결과 발열점검을 하는 학원은 7~8곳, 손소독기를 갖추고 있는 곳은 10여곳에 불과했다. 비누 등 기초적인 물품은 갖추고 있지만 신종플루 대책으로는 상당히 미흡한 수준이다. 비교적 규모가 큰 학원들이 이 정도라면 중소 영세학원들의 사정은 더욱 심각할 수 있다는 점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전주시내 중소학원에 다니는 중학교 3학년 이모군은 "학원에는 손소독기가 설치돼 있지 않고, 선생님이 개인적으로 (휴대용 손소독기를) 가지고 다닌다. 아이들은 그냥 다닌다. 좀 불안하지만 '별일이야 없겠지'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학원들은 개인사업장이기 때문에 교육청에서 손소독기 구입이나 발열체크 등을 강제할 수단은 없다. 또 학원이 개인사업장이라는 점은 학생통제에서도 차이가 있다. 학교에서는 미미한 증세만 보여도 해당학생들에게 등교하지 말것을 권유한 뒤 보건소 등에 보내지만, 학원에서는 나오지 말 것을 권유하기 어렵다. "수강료를 냈는데 왜 못나오게 하느냐"며 학부모들이 항의하면 대응할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예방대책 뿐만 아니라 환자발생 보고체계도 허술하다. 교과부는 일선 학원에서 감염의심 환자가 발생하면 보건소에 신고토록 했지만 정규학교에서도 보고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상황에서 학원이 제대로 보고하기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는게 일반적인 분석이다. 학원의 이미지 실추와 수강생 감소 등이 우려되기 때문에 굳이 긁어서 부스럼 만들기 보다는 쉬쉬하며 넘어가려 하는 것이다. 어차피 보고될 환자라면 '학교'에서 보고하면 되고, 그냥 넘어갈 수 있으면 그냥 넘어가는 것 아니냐는 심정이다. 이런 사정 때문에 학원에서는 1차 대응이 제때 이뤄지지 않아 피해를 키울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학원과 함께 학생들이 자주 찾는 PC방 등에 대한 생활지도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학원에 비해 감염위험은 높은데 반해 예방대책이나 보고체계는 훨씬 취약하기 때문이다. 이웃나라 일본에서는 신종플루 유행 초기에 학교의 휴업이 많았으나 생활지도에서의 헛점 등을 이유로 현재는 휴업을 자제하고 있는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