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창 금과 전원마을, 부자들 '별장' 지어주는 꼴

군, 7억여원 보조…농촌공사 "광주 등 부유층 제2의 집"…특정인 특혜 우려 전면 재검토 지적

속보=한국 농어촌공사 순창지사가 추진하는 금과면 내동 전원마을 사업이 자칫 소수 특정인들의 특혜로 이어질 우려가 커 사업 전반에 대한 재검토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이 전원마을 사업이 당초 계획과는 달리 일부 부유층들의 제2의 집(일명 별장)을 제공해주는 격의 졸속한 사업으로 전락할 수 있어 세심한 관심이 요구되고 있다.

 

이 같은 우려는 최근 전원마을 사업을 담당하는 한국농어촌공사 순창지사의 한 관계자와 본보 기자와의 인터뷰과정에서 나타났다.

 

전원마을 분양과 관련 '분양가가 너무 높아 분양에 어려움이 있을 수도 있다'는 기자의 질문에 이 관계자는 "현재 추진하는 금과면 내동 전원마을 입주자 모집에 있어 일반인들이 분양 대상자가 아니다"고 역설했다.

 

그는 특히 "이 전원마을은 결국 높은 분양가 등 때문에 인근 광주 등의 부유층들의 '제 2의 집' 개념으로 분양 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고 말을 이었다.

 

이 관계자의 말을 종합하면 결국 전원마을 입주자는 당연히 광주지역 등의 일부 부자들이 주를 이룰 수밖에 없다는 뜻으로 해석되는 부분이다.

 

또 이 관계자의 말대로 '제 2의 집'(일명 별장) 개념의 분양은 당초 전원마을이 가지고 있는 인구 유입에 따른 정주인구 증대와 도시민들의 농촌이주 확대라는 명분과는 아예 거리가 먼 꼴이 되는 셈이어서 사업 자체에 대한 재검토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 같은 주장을 대변이나 하듯 실제로 한국농어촌공사 순창지사는 지난 15일자로 광주지역에서 발행되는 일부 일간지를 통해 입주자 분양 공고가 실린 광고를 게재하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순창군은 이 사업을 위해 지방비 약 7억 3000여 만원의 예산을 기반시설 조성 등에 보조해 줄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예산이 일부 부자들을 위한 특혜로 이어 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 순창군애향운동본부 안 현진 사무국장은 "인구 증대와 정주인구를 늘리기 위해 추진한다는 전원마을 단지 조성이 일부 부자들의 별장으로 분양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며 "이 같은 상황이 연출 될 경우 인근 지역 주민들과의 위화감 등이 생겨 부작용이 클 것은 불 보듯 뻔한 일이다"고 피력했다.

 

특히 안 사무국장은 "전원마을 사업 추진에 있어 군비 등 수 억 원의 지방비가 투자되는 만큼 사업이 당초 계획대로 추진 될 수 있도록 입주자 자격 등에 따른 제도적인 장치가 반드시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