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초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의 방북 당시 동행, 김 위원장을 함께 만나기도 했던 그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일단 보도가 정확한지를 지켜봐야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김 위원장이 언급했다는 다자 대화와 관련, "보도가 정확하더라도, 그런언급이 북한이 6자회담으로 되돌아 오겠다는 것을 의미하는지 또는 또 다른 형식의다자 회담을 제안하려고 하는 것인지, 혹은 북한이 여러 국가들과 다양한 양자회담을 가질 계획인지 우리는 모른다"고 말했다.
그는 또 "북한의 핵문제에 대한 언급의 정확한 의미를 알기는 모호하다"면서 "북한은 여러차례 핵무기 포기를 검토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지만 그렇게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미국은 북한이 6자회담으로 되돌아 와야만 한다는 것과 핵무기 프로그램을 끝내야 한다는 원칙에 의거한 입장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관련, 그는 "만일 스티븐 보즈워스 미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북한을 방문한다면, 이런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것일 것"이라면서 "돌파구 마련은 북한이 자신들의 입장을 변화시킬 용의가 있느냐 여부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