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일보가 24일 한국전력 전북본부와 도교육청 및 각 대학을 통해 조사한 결과 2008년 한해 도내 대학에 부과된 교육용 전기요금은 전북대가 29억718만원, 원광대는 15억7534만원에 달했다.
또 전주대는 지난해 10억513만원, 군산대 7억9405만원, 우석대가 7억2159만원의 전기요금을 냈다.
이와함께 도내 전체 초·중·고교 가운데 국립 4개교를 제외한 762개 학교에서 지난해 부담한 전기요금은 총 118억2373만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전북대 등 주요 5개 대학에 부과된 지난해 전기요금(70억329만원)은 도내 762개 초·중·고교 전체 금액의 59.2%에 해당된다.
특히 교육용 전기료가 공급원가 보다 싸게 책정된다는 점에서 캠퍼스의 전력 사용량은 일반 가정용과 비교할 경우 요금 비율 이상으로 많은 셈이다.
또 각 대학이 건물을 잇따라 신·증축 하면서 전기료도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 특히 지식경제부가 교육용 전기요금을 지난 6월 6.9% 인상한 데 이어 총괄원가 수준으로 점차 인상한다는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져 대학측의 부담은 더 커질 전망이다.
이에따라 대학이 교내 에너지 절감 계획을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 온실가스 감축에 앞장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박영아 의원은 "지난 2005년부터 2008년까지 전력사용을 통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분석한 결과 70개 대학에서 30% 이상 증가, 국내 전체 증가율 7%를 크게 웃돌았다"면서 "전기사용량이 많다는 것보다 대학측의 근본적인 온실가스 감축 노력이 부족하다는 점이 문제"라고 밝혔다. 각 대학이 최근 그린캠퍼스 조성 방침을 내세우고 있지만 아직 캠퍼스 녹지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는 주장이다.
박의원에 따르면 전력사용량을 기초로 대학이 배출한 온실가스(이산화탄소)의 양을 추산한 결과 전북대는 지난 2003년 1만2326t에서 2008년 1만7276t으로 5년만에 40%나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