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라서 산모는 약물복용에 따른 부작용에 대해 과도하게 우려할 필요가 없이 모유 수유를 중단하지 말고 지속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관동의대 제일병원 마더리스크프로그램 한정열 교수팀과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2004~2008년 제일병원 마더리스크-콜센터를 통해 수유 중 약물 복용 여부를 상담했던 291명 임산부와 아이를 대상으로 '모유 수유부의 약물 안전성과 위험성'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 약물복용 후 아기에서 부작용이 나타난 빈도는 1.7%(5/291)에 불과했다.
부작용은 무른 변(4명)이나 졸림(1명) 등으로 심하지 않았으며, 이마저도모유수유 동안 자연히 회복됐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연구팀은 산모가 약물복용 중 모유 수유를 지속했더라도 아기에게 치료가 필요한 부작용이 나타난 사례는 관찰되지 않았다고 보고했다.
이에 따라 의료진은 산모가 급성질환이나 만성질환으로 어쩔 수 없이 약물을 복용해야 하는 상황이라도 무작정 모유 수유를 중단하지 말 것을 권고했다.
하지만, 전문가와의 상담에도 불구하고 약물에 대한 두려움으로 산모 중 10%(29/291)는 수유를 중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정열 교수는 "수유 중 금기가 되는 약물은 실제로 많지 않고, 대부분의 약물이 모유 수유를 해도 아이의 건강에 큰 해가 없는데도 산모 스스로, 심지어는 의료진들조차 약물 복용에 대해 과도한 우려를 표시한다"면서 "그 결과로 많은 장점을가진 모유 수유가 중단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한 교수는 "약을 꼭 복용해야 하는 질환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젖을 먹이기 위해질병을 방치하거나, 반대로 약을 먹기 때문에 수유를 할 수 없다고 혼자서 결정하는것은 좋지 않다"면서 "약을 복용하지 않고 증상을 해소시킬 수 있는 방법이 있으면좋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주치의와 상담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권고했다.
http://blog.yonhapnews.co.kr/scoop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