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보건복지가족위원회 최영희 의원(민주당)은 국내 신종인플루엔자 사망자 11명의 진료 경과를 분석한 결과 9번째 사망자(뇌사 이후 사망)를 제외한 10명이 보건당국의 지침과 달리 항바이러스제가 뒤늦게 투여됐다고 5일 밝혔다.
최 의원의 분석에 따르면 10명의 사망자는 당시 진료지침에 비해 2~8일 늦게 항바이러스제를 투여받았다.
첫 번째 사망자는 지난 8월1일~5일에 위험지역인 태국을 여행한 후 같은 달 9일39.5도의 고열로 병원을 방문했고 당시 병원에서는 여행경력을 확인했다.
이 경우복지부의 7월29일 지침에 따라, 보건소에 신고하고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해야 하지만4일이 지난 8월12일에야 항바이러스제를 투약했다.
또 두 번째 사망자도 7월31일 급성호흡기곤란증후군으로 중환자실에 입원했을때 즉시 보건소에 신고해 조치를 취했어야 했지만, 실제 5일이 지난 8월4일 치료제가 처방됐다.
이밖에 세 번째와 다섯 번째, 여덟 번째, 열 번째는 2일이 지연됐으며 여섯 번째 3일, 네 번째 4일, 일곱 번째 5일, 열한 번째 8일이 늦어졌다고 최 의원은 분석했다.
최 의원은 "각계 전문가들과 회의를 통해 만든 진료지침을 만들고도 일선 의료기관에 제대로 교육과 홍보를 하지 않아 항바이러스 투약 시점이 지연된 것은 1차적으로 정부의 책임"이라고 질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