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보건복지가족부가 국회 보건복지가족위원회 유재중 의원(한나라당)에게 제출한 '응급의료 선진화 추진계획서'에 따르면 응급이송 서비스를 이용한 환자 중 73%가 부적절한 의료기관으로 처음 이송됐다.
해당 환자를 제대로 치료할 수 없는 의료기관으로 이송된 응급환자는 또다시 다른 병원으로 '전원'돼야 하므로 치료 지연으로 이어진다.
이 같은 부적절한 이송에 따른 전원은 전체 전원 환자의 28%를 차지하는 것으로확인됐다.
전원 환자의 사망률은 7.4%로 처음부터 적절한 의료기관으로 이송된 환자(1.7%)의 네 배가 넘는다.
부적절한 이송이 응급환자의 사망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응급환자를 적절한 의료기관으로 이송하지 못한 것은 이송자가 환자를 정확하게분류하지 못하거나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유 의원은 설명했다.
유 의원은 "부족한 응급의료 인프라 탓으로 '살 환자'가 희생되고 있다"며 응급의료 기반 확충을 촉구했다.
심정지 환자를 살리지 못하는 미흡한 응급의료시스템도 이날 국정감사에서 지적됐다.
복지부가 이애주 의원(한나라당)에게 제출한 '2008년 병원기반 심뇌혈관질환 등록감시체계' 자료에 따르면 국내 소아(14세 이하) 심정지 환자 881명 가운데 83.9%가 사망했다.
또 국내 심정지 환자를 이송하는 구급차들이 심폐소생술에 부적절하기 때문에이송 중 많은 환자가 사망하고 있다고 이 의원은 지적했다.
국내 심정지 환자 생존율은 2.4%로 미국의 8.4%, 일본의 10.2%에 비해 크게 뒤떨어진다.
이 의원은 "심정지 환자를 위한 응급장비인 자동제세동기(AED)와 구급차 내 장비를 확충하고 학교와 일반인 대상 심페소생술 교육을 적극적으로 실시해야 한다"고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