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의회 측은 "용담댐 축조 목적대로만 사용하라"며 원칙적인 반대 입장을 고수한 반면, 수공 측은 "물 그릇을 같이쓰게 하는 게 국가가 할 일"이라며 기존의 강행 입장을 우회적으로 시사했다.
6일 오전 진안군의회를 찾은 수공 수도개발처 및 금산·무주권 광역상수도 건설사업단 일행 4명은 "진안군과 군의회 결의없인 그 어떤 협의(?)도 하지 않겠다"며 사업진행에 양해를 구했다.
이들 일행은 이어 "현재 용담면 반대투쟁위와 협의중인 민원해결 사항은 조만간 그 윤곽이 드러나며, 그 협의 결과를 군과 의회 측에 반드시 통보, 결의를 얻도록 하겠다"면서 의회를 의견을 존중할 뜻을 내비쳤다.
특히 "전북 도민들이 쓰는 생활용수는 현 70만t으로 버틸 수 있고, 새만금 기업도시 등에 필요한 공업용수도 금강하수둑을 통해 공급하면 된다"며 물 부족사태는 기우일 뿐, 문제될 게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면서 "문제가 생기더라도 다른 용수원을 확보하면 해결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군의원들은 "금산권에서 정 물이 필요하면 자체 취수댐을 막아 해결하면 될 일이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이며 "현 상황에선 어떠한 절충도 협의도 해 줄 수 없다"고 의름장을 놨다.
군의원들은 특히, "용담댐 하류로 흘려보내는 용수량이 기존 5cms에서 8.5cms로 늘린 것은 유감"이라며 곧 열릴 금강수계관리위원회 때 원래대로 환원하라는 주장과 함께 최악의 경우 향후 면담자체도 거부하겠다는 강경 입장을 분명히 했다.
아울러 "물의 배분과 관련된 금강수계관리위에 전북은 도지사만이 유일하게 참여, 제대로 된 목소리를 낼 수 없는 상황인 만큼 대표성을 띤 지역의 자치단체장 등도 참여할 수 있도록 이를 건의할 작정이다"고 했다.
한편 군의회 측은 이번 만남과 별도로, 조만간 전북도지사를 방문해 충청권 물공급 반대입장을 전하며 대응책 마련을 촉구할 것인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