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10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한중일 정상회의에 참석,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목표 공유 및 북핵해결을 위한 주변국과의 공조를 마무리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 9일 청와대에서 하토야마 유키오 일본 총리와의 정상회담에서 북핵해법을 조율한 데 이어 10일에는 원자바오 중국 총리와 하토야마 일본 총리 등과 함께 북핵 일괄타결 방안인 '그랜드 바겐(grand bargain)' 구상제안에 대한 공감대를 이끌어냈다.
이 대통령은 이날 한중일 정상회의 직후 공동기자회견에서 "북핵의 완전하고 불가역적인 해결을 위한 일괄타결 구상을 설명했으며 구체적 추진방안은 3국을 포함한 6자회담 참가국들이 계속 협의할 것"이라면서 "기회가 닿으면 언제든지 북한에 대해서도 (그랜드 바겐 구상을) 설명하고 협력을 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또 한중일 FTA(자유무역협정)와 관련해 "한중일 FTA는 민간 차원의 공동 연구에서 이제 정부차원의 협의가 개시돼야 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고, 원자바오 총리와 하토야마 총리가 긍정적으로 화답하는 등 동아시아 경제협력 분야에서도 적지 않은 성과를 냈다는 게 청와대측의 설명이다.
한편 이 대통령은 지난 9일 청와대를 찾은 하토야마 유키오 일본 총리와 만나 정상회담을 가졌다. 취임 후 양자차원에서는 처음으로 해외방문지로 한국을 찾은 하토야마 총리는 "가깝고도 가까운 나라로 하고자 하는 마음을 공감할 수 있었다"고 소감을 밝혔으며, 이 대통령은 내년 G20 정상회의의 한국 개최와 관련해 일본의 적극적인 협력을 당부했다.
다만 하토야마 총리는 과거사 및 재일동포들의 참정권 문제에 대해서는 '미래지향적 동반자 관계'의지를 재확인하면서도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하지 않았다. 하토야마 총리는 "일·한 관계에서 양국 국민이 자칫 감정적인 부분이 앞설 수 있어서 그것을 억제해야 한다"며 "국민의 이해를 얻기 위해선 시간이 걸린다는 점을 이해해 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