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산 '한방로하스밸리' 대규모로 추진

진안홍삼스파·산약초타운 등 묶어 관광객 유치 복안

차별화된 개발 부족으로 돈버는 관광지로서 역할이 미흡했던 진안 마이산 북부권에 진안홍삼스파와 산약초타운 등을 하나로 묶는 한방로하스밸리 조성사업이 추진돼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13일 진안군의회에서 채택된 내용에 따르면 마이산도립공원내 진안읍 단양리 일원 52만9810㎡에 68억원의 예산을 들여 대규모 '한방로하스밸리'를 조성할 계획이다.

 

북부예술관광단지에서 마이산 주봉에 이르는 구간에 걸쳐 조성될 한방로하스밸리에는 산약초타운(33만㎡)은 물론, 한방수목원(10만㎡), 산림욕장(8만7000㎡), 산림휴양관(5600㎡) 등이 들어설 전망이다.

 

이들 주요 시설 외에도, 기반시설과 함께 테마공원, 산약초 체험시설, 부대시설 등이 곁들여질 예정이며, 장기적으로 북부주차장에서 남부 등산로로 이어지는 모노레일 설치도 조심스럽게 검토되고 있다.

 

이를 위해 군은 18억원에 가까운 도비를 확보하고, 늦어도 2011년 말까지 10만㎡의 국공유지와 42만9000㎡의 사유지를 매입할 계획까지 세워뒀다. 이로 인해 도립공원법에 묶여 개발조차 못하던 지주들도 땅을 처분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 사업이 현실화 되기까지는 전북도로부터 도립공원 변경 승인을 득하는 문제에다, 이 모든 사업을 아우를 재정적으로 튼실한 위탁업체를 찾는 숙제가 남아있다.

 

이와 관련, 군의원들은 "사업 추진에 앞서 마무리까지 모든 로드맵을 그려놔야 성공 여부를 안배할 수 있다"며 철저한 사전 계획을 주문했다.

 

이한기·김정흠·이부용·한은숙 의원은 "어렵사리 따 낸 공모사업 자체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청사진만 제시한 채 그 끝이 흐릿해지는 전철을 밟지는 말아야 한다"며 "인력·재정적 손실이 뒤 따를 수 있는 사안인 만큼 세밀한 검토 및 연구가 선행돼야 할 것"이라고 권고했다.

 

이와 관련, 군민 대다수는 건물만 지어놓고 사후관리에 나몰라라하는 행정의 구태를 벗어나는 일이 우선과제"라면서도, 따로 국밥식인 각종 개발사업을 유기적으로 결합해 체류형 관광지로의 전환하는 이 계획의 필요성에 대해선 공감하는 분위기다.

 

한편 북부마이산 주차장 일원에 피라미드 등 세계 불가사의의 모형을 축소해 만든 미니어처를 조성하면 학생 등 다수의 관광객읅 유치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는 제안이 제기돼 현재 군에서 검토중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