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 공식 사과를 요구해온 정부는 이날 북측의 입장 표명을 사과로 간주하기로 함에 따라 '임진강 사고'를 둘러싼 남북간 갈등은 발생 1개월여 만에 수습 국면으로 들어설 것으로 보인다.
통일부에 따르면 북측은 이날 오전 11시부터 개성 남북경협협의사무소에서 1시간20분간 진행된 임진강 수해방지 실무회담 오전 회의에서 "'임진강 사고'로 남측에서 뜻하지 않은 인명피해가 발생한 데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유가족에 대해심심한 조의를 표명한다"고 밝혔다.
북측은 또 '황강댐 무단방류'의 원인에 대해 "해당기관에서 더 큰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긴급히 방류할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고 통일부 당국자는전했다.
앞서 북측은 지난달 7일 "댐의 수위가 높아져 방류했다"고 1차적으로 경위를 설명하고 향후 대량 방류시 남측에 예고할 것이라고 밝혔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한의 유감 표명에 대해 "포괄적으로 보면 북한이 사과를 한것으로 본다"면서 "사과로 받아들인다는 게 정부의 공식 입장"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북한의 무단방류 경위 설명에 대해 "충분한 설명이라고는 보기 어렵지만 불가피하게 방류할 수밖에 없었다고 했다"며 "북측이 나름대로 경위를 설명한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이 임진강 상류 황강댐의 물을 예고없이 방류함에 따라 지난 9월 6일 남측임진강 유역의 수위가 급격히 상승, 경기도 연천군에서 우리 국민 6명이 익사했다.
북한은 9월7일 보내온 대남 통지문에서 사과나 유감표명 없이 "임진강 상류 북측 언제(댐)의 수위가 높아져 5일 밤부터 6일 새벽 사이에 긴급히 방류하게 됐다"고만 설명했고 다음 날 정부는 통일부 대변인 논평을 통해 '북한 책임있는 당국의 충분한 설명과 사과'를 공식 요구했다.
이날 오후 2시30분부터 15분간 진행된 오후 회의에서 양측은 임진강 등 남북공유하천의 수해방지 및 공동이용 방안을 계속 논의한다는데 뜻을 같이 하고 향후 판문점 연락관 채널을 통한 문서교환 방식으로 다음 회담 일정을 협의키로 했다.
이번회담은 남북 당국간 회담(적십자회담 제외)으로는 지난 7월2일 제3차 개성공단 실무회담 개최 이후 3개월여 만에 이뤄진 것이다.
회담에는 우리 측 김남식 통일부 교류협력국장, 김석현 국토해양부 수자원정책과장, 김충환 통일부 회담2과장과 북측 리영호 민족경제협력연합회(민경련) 실장,김상호 민경련 과장, 김철만 국토환경보호성 과장 등이 각각 대표로 나섰다.
김 국장 등 대표단은 오후 4시께 귀환, 상세한 회담 결과를 언론에 브리핑할 예정이다.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