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이 앞서 가고 있다는 주장이지만 다르게 해석하면 '진행형'임을 시인한 셈이다.
홍보라인 핵심관계자가 "우리로서는 아는 바 없다"면서 "팩트를 구체적으로 확인해 줄 수 없다"고 말한 것도 비슷한 맥락으로 이해된다.
이처럼 남북정상회담에 대한 청와대 반응은 극도의 신중함이다.
정국을 뒤흔들'메가톤급 이벤트'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지지율이 50%를 넘나드는등 현 정부 취임 이후 가장 '좋은 분위기'에서 남북정상회담이 자칫 악재가 될 수있다는 우려도 감안해야 하는 상황이다.
정정길 대통령실장 주재로 23일 오전 열린 수석비서관회의에서도 이 문제와 관련, 참모들은 섣부른 대응은 오히려 불필요한 해석과 오해를 초래할 수 있다는 판단하에 "아는 바 없다"는 공식 입장을 정리키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정상회담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남북이 서서히 공감대를 쌓아가고 있다는게 최근 청와대 안팎에서 감지되는 기류다.
한 참모는 "남북간 교감이 있는 것은 사실"이라면서 "이 대통령도 취임 이후 기회가 있을 때마다 '언제든 만날 수 있다'는 입장을 일관되게 밝혀오지 않았느냐"고말했다.
이와 관련, 북한 노동신문도 지난 22일 "(우리가) 주동적으로 취한 북남관계 개선조치들 때문에 북남 사이에 여러 갈래의 대화 움직임들이 나타나고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그러나 여러가지 상황을 종합해 볼 때 남북정상회담의 분위기나 여건은 아직 충분히 성숙되지 않았다는 게 청와대 입장이다.
또다른 참모는 "우리 입장에서 '그랜드 바겐'이라는 일괄타결 원칙을 제안한 만큼 핵포기 등 북측의 근본적 변화가 없는 한 정상회담이 성사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극적인 합의가 이뤄지더라도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다른 한편으로 청와대는 정상회담과 관련한 남북간 '물밑조율'이 언론이 잇따라노출되고 있는데 대해 내심 당혹해하는 모습이다.
일각에서는 이에 대해 '현상유지'를 원하는 세력의 의도적인 '흘리기'가 아니냐는 관측도 내놓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익지도 않은 사과를 따서 먹지도 못하고버리는 사태가 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