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 금구면 선암저수지 내 어업행위 허가로 토종 물고기를 싹쓸이 하고 있다며 지역주민들이 어업허가를 반대하고 나서 논란이 일고 있다.
김제시는 지난 2005년 8월 김제시 금구면 선암저수지에서 어업활동을 할 수 있도록 김제시민 26명으로 구성된 '선암제 내수면 어업계'에 공동 어업면허를 내줬다. 한국농어촌공사 동진지사 역시 포획 허가를 내주면서 어업계는 지난 5년 동안 선암저수지에서 2개에서 많게는 5개의 삼각망을 두고 어업 활동을 해 왔다.
금구면 주민들은 이와 관련, "수심이 깊어 붕어·메기·잉어 같은 토종 어종이 넘치던 저수지가 어업 활동을 허가한 이후 수 년새 개체수가 눈에 띄게 급감했다"며 29일부터 내년 만료되는 어업면허 연장 반대 서명에 나섰다.
이들은 면민서명이 마무리되는 대로 김제시에 탄원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서명 운동에 나선 송모씨(60·김제시 금구면)는 "잉어 같은 토종 물고기로 가득찼던 저수지가 어업계에서 토종 물고기를 마구잡이로 잡아들이면서 이젠 물고기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라며 "토종 물고기를 잡는 대신 정체 모를 치어들을 방류하는데 예산을 쓰는 것은 어리석은 행정"이라고 성토했다.
송씨는 또 "토종 어류를 보존하지는 못할 망정 외래어종으로 어려움을 겪는 다른 저수지들의 전철을 밟는 것 밖에 더 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나 어업계장 박태진씨는 "5000여만 원을 들여 매년 치어를 20만 마리 이상을 방류하고 있지만 실제 소득으로 이어진 것은 100만 원도 안 된다"며 "매년 임대료로 280만 원씩 내면서 지난해부터 조금씩 잡기 시작해 우리가 손해를 보고 있는데도 주민들은 터무니 없는 억지를 쓴다"고 반박했다.
김제시 농업기술센터 수산담당은 "주민들은 원래 저수지 그대로 둘 것을 요구하지만 어업계는 어획 소득의 30% 가량을 유지관리 비용으로 시에 환원하고 있으며 치어 방류를 통해 오히려 어종 확대에 기여한다고 볼 수 있다"며 "면허를 낼 수 있도록 조건과 절차에 맞다면 재허가를 내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주민들과 어업계의 입장차가 커지면서 논란이 확산되자 관리를 맡은 한국농어촌공사 동진지사는 "당초 예정된 2010년 8월까지만 어업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만료 이후에는 어업 연장을 허가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