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자연과학, 사회과학 연구자들이 모인 학회로 문화재 정책분야에서는 최초로 설립된 민간학술연구단체다.
초대 학회장에 내정된 이삼열 전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사무총장은 "국민에게 문화재 보존의 사회적 비용을 의심 없이 감내하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여건이 됐다"면서 "인문학자는 문화재의 본질적 가치인 학술적ㆍ예술적ㆍ역사적 가치를 탐구해 보존의 당위성을 확고히 하고, 사회과학자는 사회경제적 환경을 고려한 최적의 정책 수단을 체계적으로 연구 개발해서 제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문화재정책학회는 13일 경복궁 내 국립고궁박물관 강당에서 창립총회와 함께 학술세미나를 개최한다.
'문화재 정책 50년사 재평가와 미래 비전'(엄승용), '우리나라 고도보존법의 현황과 과제'(채미옥), '한국 문화재정책에 있어서 법제와 조직의 과제'(김창규)가 발표되고 종합토론이 이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