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측은 노후화된 합동대강당을 리모델링해 보다 많은 학생들에게 공연의 기회 등을 제공한다는 입장이지만 정작 이를 활용할 학생들은 공사 뒤 공연과 연습에 더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주장을 펼치며 학생 권리를 위한 비상대책위를 꾸리는 등 반발하고 있다.
지난 30일 전북대와 이 대학 극예술연구회 학생권리비대위에 따르면 전북대 합동대강당은 20억원 상당의 리모델링 공사를 9월말께 마쳤다. 합동대강당은 음향, 조명, 객석, 무대 등이 있는 대형 공연장 1곳과 준비실 겸 대기실, 강의실 2곳 등을 갖추고 있다.
학교측은 지은 지 30년이 다된 노후화된 건물이라 시설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공사를 진행했으며, 교정 내 광장 등에서 공연 등을 진행했던 학생들이 보다 편리한 공간에서 행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이 대학 연극동아리인 기린극회 등은 리모델링 뒤 학교가 관리 측면을 강화하면서 공연과 연습할 여건이 현저히 나빠졌다고 주장하고 있다. 리모델링 전에는 공휴일과 주말에도 합동대강당 공연장을 사용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사용할 수 없고, 사용기간도 예전 한 달에 3일에서 2일로 줄었다는 것이다. 또 공연장의 조명과 무대 등도 공연을 위한 것이 아니라 세미나 등을 위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동안 공연 대체공간으로 사용하던 후생복지관이 올해 초 식당으로 바뀐데 이어 합동대강당마저 학생들의 문화활동 공간에서 멀어져가고 있다는 것이다.
이 갈등은 또 학교 내 문화활동을 둘러 싼 학생권리에 대한 논란으로 번질 여지도 있다. 학교측은 합동대강당 로비에 내 건 사용규칙에서 학생이 먼저 사용신청을 했더라도 학교측이 부득이한 사정에 따라 사용허가를 취소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전북대 관계자는 "만약을 예상해 규정을 명시했지만 사실상 이 규정이 적용될 예는 없을 것이다"고 밝혔지만 학생들은 이같은 문구가 학생의 공연 등 문화활동에 대한 학교측의 인식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며 반발하고 있다.
전북대 극예술연구회 학생권리비대위 서재홍씨(물리학과3년)는 "학교의 주인인 학생과의 약속을 학교의 편의에 따라 언제든 파기할 수 있다는 학교측의 독단을 보여주는 것이다"며 "학생을 위해 리모델링한 공연장이라지만 관리차원의 이유로 학생은 배제되고 공연의 기회는 더 줄어들고 있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