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은 이어 "세종시와 4대강 등에 대해서는 냉철한 이해와 분석이 필요하다"며 "국가 백년대계에 관련된 것은 감성적으로 대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낮 전북일보를 비롯한 37개 청와대 출입 지방신문사 편집국장과 전국 9개 민영방송 보도국장단 초청 오찬 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하고 "우리 모두 냉철하게 한 걸음 물러서서 무엇이 국가에 도움이 될 것인가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지역에 따라서 언론이 선정적·감성적으로 보도하는 것을 보면서 걱정스럽게 생각했다"며 "지역 사정에 따라 어쩔 수 없이 그렇게 (보도)할 수 있지만 언론 본연의 자세는 국가의 장래를 두고 무엇이 국가에 도움이 될 것인가 하는 것을 선도해야 할 책임도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이 대통령은 "지역발전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게 지역언론의 역할이다"며 "그런 언론은 정부가 도와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 "지역신문은 존립할 필요가 있다"며 "본분을 다하는 지역언론은 지원해야 한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세종시 수정 논란에 대해 "충청 도민의 입장에서 보면 이해를 한다. 감성적으로 이야기할 만한 이유가 있을 것 같다"며 "왜냐하면 충청 도민이 행정수도를 이전해 달라고 부탁한 일이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나도 좀 편하게 진행할까. 그냥 (세종시 문제를) 다음 대통령 때로 미뤄 버릴까도 수 차례 생각했다"며 "그러나 정치적으로는 굉장히 마이너스면서 국가를 위해 한 번 하는 것이니까 아마 충청 도민이 이해하지 않을까, 이해를 구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서 이야기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정부가 확고한 방안을 내놓으면 그걸 판단할 수 있는 기회가 올 것으로 생각한다"며 "그래서 대안이 나올 때까지는 정치권도 조금 기다리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금년 한 해를 보내면서 국정의 하나 하나를 국민의 입장에서, 국가의 장래를 백년대계를 생각해서 하나씩 기초를 잡아가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며 "그렇게 되면 다음 정권부터는 탄탄대로에서 국가가 승승장구 발전할 수 있지 않겠느냐"고 역설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우리 정부는 약속을 하면 반드시 지킨다"며 "확고하게 지역을 발전시키는 계획을 수립해 놓고 대부분 내 임기 중에 시작할 것"이라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