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식품클러스터가 공공부문으로서 제기능을 다하기 위해서는 중소 식품기업의 R&D와 마케팅을 지원하고, 이어 이들 지원기술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리, '애프터서비스(A/S)'구실까지 다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 세계식품시장정보분석시스템, 세계연구정보데이터베이스(DB)시스템, 연구비지원시스템 등을 통해 대기업에 비해 R&D 예산이 빈약한 중소기업의 R&D를 적극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 11일 농림수산식품부와 전라북도가 주최하고, 전북생물산업진흥원이 주관해 전주월드컵컨벤션웨딩센터에서 열린 '국가식품클러스터 네트워킹 구축을 위한 제3차 산학연협의회(주제:기업 중심의 R&D 및 마케팅 지원 방안)'에서 토론자로 나선 양병우 교수(전북대)는 "국가식품클러스터를 통한 식품기업 지원은 공공성 있게 지원돼야 한다"며 "예를 들어 공공부문인 식품클러스터는 세계 식품시장의 정보를 두루 갖춘 시스템을 구축해 기업이 원하는 분석자료를 제공하거나, 세계적 식품기업·연구소 등의 연구자료를 파악해 데이터베이스화 함으로써 중소식품기업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어느 기업이 어떤 기술을 필요로 하는지를 파악해 맞춤형으로 지원하는 '식품기술 수요조사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양 교수는 또 식품클러스터가 새로운 기업을 만들어가는 방향으로 R&D 지원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신생약 소재, 생물 소재, 동물 소재 등 신기능성소재를 창조하는 R&D 지원이 돼야 한다는 것. 바이오 플래스틱, 식물성 화장품 소재의 경우 식품과 연관된 새로운 제품, 새로운 기업을 탄생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우석대 오석흥 교수는 "우리나라 대부분 식품기업들의 연구개발비 투자는 매출액의 1%에 못미친다. 반면 글로벌기업들의 경우 1.6∼4.5%에 달한다"며 "공공부문으로서 식품클러스터의 핵심은 중소기업에 대한 R&D 및 마케팅 지원이다"라고 지적했다. 오 교수는 "기업의 투자를 유치하고 지원 관리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며, 산학연 연계 활성화에 식품클러스터가 제구실을 다하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국식품연구원 김성수 박사는 "대학이나 연구소가 SCI논문을 몇 편 발표했느냐도 중요하겠지만, 연구 결과 획득한 기술을 이용해 기업이 실제로 상품화에 성공, 도움을 받았느냐를 따져야 한다"며 "연구비가 부족한 중소기업에 대한 적극적 지원이 필요하며, '중소기업 기술 경영지원 전담센터'를 만들어 기술을 지원받은 기업이 계속 잘해 나갈 수 있도록 A/S지원까지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식품관련 기업, 교수 등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 세미나에서 '기업중심의 R&D지원방안'을 발표한 서병철 교수(고려대)는 "식품클러스터는 대기업과 중소기업·벤처기업 등 각각의 특성에 적합한 차별 지원체계를 구축해야 하며, 세계화 가능성이 있는 분야에 대한 전략적이고 집중적인 R&D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또 '기업이 바라는 마케팅지원방안'발표에 나선 '문옥례가'의 조경현 대표는 "글로벌 시장에서 브랜드 힘이 작은 중소기업은 국가차원의 식품클러스터를 통한 현실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