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학산약수터 수질기준 부적합 판정 폐쇄조치

도내 샘터등 13곳 수질기준 초과 '부적합' 판정

도내 약수터나 샘터 등 먹는물 공동시설 4곳 중 한 곳은 일반세균과 총대장균군 등이 먹는물 수질기준을 초과해 마시기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올해 3분기 전국 먹는물 공동시설 1578곳에 대해 각 지방자치단체가 매달 1회씩 총 4612건의 검사를 한 결과, 1350건(29.3%)이 먹는물 수질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24일 밝혔다.

 

전북의 경우 47개소를 검사한 결과, 13건(27.7%)이 부적합한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 결과, 먹는물 수질기준을 초과한 1350건의 대다수인 1336건이 일반세균, 총대장균군 등 미생물 기준을 넘겼다.

 

먹는물 공동시설이란 여러 사람에게 먹는물을 공급할 목적으로 개발했거나 저절로 형성된 약수터, 샘터, 우물 등을 말하며 상시 이용인구가 50명 이상이거나 50명 미만이라도 수질 관리가 필요하다고 인정될 때 지정되는 시설이다.

 

부적합률은 인천 46.2%(72건), 서울 45.5%(422건), 대구 36.4%(12건), 부산 35.4%(202건), 경기 32.6%(421건), 울산 32.0%(8건) 전북 27.7%(13건) 등 인구밀집 지역이 높았고 제주(0%), 전남(4.4%), 경북(6.3%), 강원(8.9%) 등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에 따라 각 지방자치단체장은 수질검사 결과를 공개하고 사용중지·금지, 시설폐쇄(17곳) 등의 개선조치를 내리는 한편 일부 시설에는 미생물 살균기를 설치했다고 환경부는 설명했다.

 

도내에선 전주시 평화동 학산약수터가 수질기준 부적합으로 폐쇄조치됐다.

 

환경부는 먹는물 공동시설 수질 개선을 위해 관리대상, 관리방법 등을 강화하는 내용의 먹는물관리법 개정안을 국회 제출한 상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