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세종시 수정안에 포함된 국내 대기업의 사업계획이 전북도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분석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세종시에 투자할 대기업들의 사업계획 가운데 상당부분이 전북도의 미래 성장동력 산업과 맞서는 것이어서 향후 지역경제를 견인해 갈 동력산업의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전북도의 성장동력 산업은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태양광 산업.
세종시에 유치되는 삼성을 비롯한 4개 대기업들이 태양전지를 비롯한 태양광 관련분야에 대규모 투자계획을 발표하면서 전북도의 태양광 산업은 커다란 타격을 받게 됐다.
도가 추진하는 태양광 산업은 군산-익산-완주로 연결되는 '솔라벨트'를 구축하고 지역의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는 분야. 최근들어 자동차와 함께 전북의 수출효자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또한 '교육과학 중심 경제도시'로 수정된 세종시는 새만금 과학연구용지와도 개발방향 및 비전이 비슷해 상당한 충돌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지난해 12월 발표된 새만금종합실천계획안에서 새만금 과학연구용지내 도입시설로 제시된 '중이온 가속기'시설이 세종시로 방향을 선회하면서 커다란 충격을 안겨 주고 있다. 때문에 이로인해 자칫 새만금 과학연구용지 사업의 전체 틀거리가 흐트러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까지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함께 올해부터 본격 실시된 산업용지 분양도 세종시에 입주하는 대기업들의 강력한 흡입력으로 차질을 빚게 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기업유치 전략의 전반적인 수정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도 관계자는 "자동차 기계분야는 익산산업단지, 인쇄전자분야는 전주친환경 첨단복합단지, RFT분야는 정읍첨단 과학산업단지 등 차별화된 전략을 통해 세종시의 영향을 최대한 줄여나갈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세종시보다 분양가가 높은 새만금 산단의 경우 기업 입주가 축소될 수 있는 만큼 정부가 새만금산단의 양도·양수 가격을 조정해 분양가를 낮추는 등 보다 강력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세종시 수정안의 여파가 적잖은 가운데 도내 정치권과 사회단체에서는 원안대로 추진을 촉구하는 성명을 잇따라 발표하며 강력 반발했다.
도내 정치권에서는 "수정안은 특정 기업에 대규모 특혜를 주는 것으로, 사실상 지역균형발전을 포기한 정책"이라고 비난하고 나섰고, 사회단체는 "국민적 합의로 만든 세종시 건설안이 훼손되면 우리나라는 걷잡을 수 없는 불균형에 빠지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