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해 한반도에서 발생한 지진 횟수는 최근 10년간(1999년~2008년)의 평균 41회보다 19회 많은 60회에 달했다.
이는 지진 관측이 시작된 1978년 이후 31년 만에 가장 많은 횟수며, 지진 최고 발생횟수를 기록했던 2006년 50회보다 10회가 많은 것이다.
사람이 직접 느낄 수 있는 유감지진은 평균 9회보다 1회 많은 10회 발생했다.
지형과 인구밀도 등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통상 내륙에서 규모 2.5 이상의 지진이 발생하면 사람이 진동을 느낀다.
하지만, 규모 3.0 이상의 지진은 평균 9회보다 1회 적은 8회에 그쳤다.
지역별로는 해역을 제외한 남한 지역 중 대구·경북에서 가장 많은 10회의 지진이 일어났다.
그 뒤를 전북(3회), 부산·경남 및 대전·충남(2회), 서울·경기와 광주·전남(1회)이 이었다.
북한에서도 총 13회의 지진이 관측됐으며 한반도 주변 해역에서는 서해 14회, 남해 9회, 동해 5회의 지진이 발생했다.
지난해 한반도에서 발생한 가장 큰 규모의 지진은 5월 2일 경북 안동시 서남서쪽 2km 지역에서 발생한 규모 4.0의 지진이었다.
기상청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지진발생 횟수는 증가했지만, 유감지진과 규모 3.0 이상 발생횟수는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