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완주 도지사는 "우리가 제시한 국제공모 제안이 대부분 수용됐고 핵심 앵커기관 유치 등 요구 사항도 많이 반영돼 대체로 만족한다"며 "새만금 개발 구상에 대한 큰 그림이 그려진 만큼 이제는 안정적인 재원마련을 통해 이 사업을 본격적으로추진해야 한다"고 밝혀 새만금의 성공이 재원확보에 달렸음을 강조했다.
이경옥 행정부지사는 이를 의식해 "새만금개발 지연에 대한 우려를 불식하려면효율적인 재정투입으로 개발에 속도를 내야 한다"면서 "이를 위해서는 사업비를 국가 중기재정계획에 반드시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주와 익산, 정읍상공회의소 등으로 구성된 전북상공회의소협의회(회장 김택수)도 정부의 새만금 개발계획에 크게 환영한다면서 "새만금이 세계 속의 명품도시로개발돼 우리 전북이 동북아 경제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도록 상공인 모두 힘을 모아성원해 나갈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시했다.
김제시 전략사업과 박금남 담당은 "새만금 세부 개발계획이 나와 환영하고, 김제시 입장에서도 꾸준히 건의해온 내용이 거의 반영돼 만족한다"며 "새만금~전주간고속도로가 서해안고속도로 서김제 IC와 연계돼 물류와 산업발전은 물론 새만금까지최단 접근성이 확보돼 관광객 유치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부안군 새만금개발과 이정술 담담은 "종전 토지이용계획보다 관광.휴양단지 용지가 대폭 확보돼 대체로 만족한다"며 "특히 부안 쪽 방조제 개통과 1호 방조제 도로높이 공사, 관광지 게이트웨이 조성 등으로 관광산업이 비약적으로 발전할 것으로기대한다"고 말했다.
부안군 변산면에 사는 강영웅(40) 씨는 "새만금 개발로 부안과 격포. 변산관광지가 많이 알려져 관광객이 많이 올 것으로 기대한다"며 "새만금이 빨리 개발돼 지역경제가 활성화됐으면 좋겠다"고 기대감을 표시했다.
반면, 군산시상공회의소는 군산산업단지 구간의 방수제 축조공사가 이번 실천계획에 빠져 있어 다소 실망스럽다며 "군산 쪽에 방수제가 축조되지 않으면 담수 수위가 높아져 성토비용이 많이 들고 따라서 산업단지의 분양가도 높아질 수밖에 없다"면서 "국가 예산의 절감과 산단의 조기 활성화를 위해 유보 또는 변경된 구간의 방수제 공사를 조속히 실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