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방수제] "새만금방수제 조기 축조해달라"

군산상의, 새만금산단 조성 차질 우려 청와대 등에 강력 건의

속보= 군산상공회의소(회장 박양일)가 새만금 생태·환경용지구간의 방수제를 조기에 축조해 줄 것을 청와대, 국무총리실, 국민권익위원회, 한나라당, 민주당 등 중앙 관계요로에 건의했다.

 

군산상의의 이같은 건의는 지난 1월 발표된 정부의 새만금 종합실천계획에서 새만금 산업단지 조성과 관련된 생태·환경용지구간의 방수제 축조여부가 불확실하고 이에따라 사업 차질이 크게 우려되자 사업시행자인 농어촌공사 새만금 경제자유구역사업단이 사업시행에 대해 중단 등 전면 재검토를 고려하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군산상의는 건의문에서 새만금 산업단지는 생태·환경용지구간의 방수제 축조를 전제로 설계돼 있으나 방수제 미축조 때는 매립고의 상승에 따라 4,000여억원 이상의 사업비가 증가, 산업단지의 조성원가가 평당 50만원에서 약 64만원으로 28% 정도 상승될 수밖에 없어 산업단지 조성과 분양계획에 차질이 예상된다고 우려했다.

 

또한 이로 인해 투자유치에 큰 걸림돌로 국가의 대외신인도가 실추하게 됨은 물론 지역경제발전에도 지장을 초래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생태· 환경용지 구간의 방수제를 축조치 않는다면 이는 새만금 산업단지를 조성치 말라는 것과 다름이 아니다고 지적했다.

 

군산상의는 특히 방수제를 축조할 때 내측에 형성될 독립호수는 상시 정체 및 내부 오염물질의 생성으로 인해 수질 저하가 우려된다는 환경부의 방수제축조반대논리와 관련, 방수제를 축조하지 않으면 오히려 새만금 담수호 전체의 수질 악화가 더욱 염려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반박했다.

 

즉 새만금 담수호의 전체 면적이 11,800ha에서 15,100ha로 3,300ha가 증가함으로써 담수호내의 물의 체류시간이 2.8개월에서 3.4개월로 늘어나 오히려 수질이 악화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생태환경용지는 정체수역으로 신시도의 배수갑문을 이용한 담수호의 외해 배제가 사실상 어려워 호내 수질오염이 가중, 상시 적조발생구역이 될 가능성이 높다며 전문가들의 의견을 인용해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