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관계자는 "남북정상회담이 언제 될지, 6자 회담이 언제 될지 아무도 모른다"면서 "남북정상회담과 관련해 미리 타임테이블(시간표)을 짜놓고 일을 진행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이 핵폐기 논의 개시에만 동의해도 남북 정상이 만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에 대해서도 "지금 당장 어디까지 한다는 기준은 없다.
그와 관련해 세부적인 원칙이나 기준을 마련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청와대는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해 8월 김대중 전 대통령 조문단의 일원으로 온 김기남 노동당 중앙위원회 비서를 만난 자리에서 북한이 체제안전을 보장받도록 미국과 중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는 일부 보도와 관련, "전혀 그런 사실이없다"고 부인했다.
복수의 청와대 외교안보라인 참모들은 "이 대통령은 당시 그런 발언을 한 적이없다"면서 "우리가 당사자인데 북한의 '체제안전'을 보장받도록 중재한다는 게 말이되느냐"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정부 고위 관계자는 "북한의 체제 보장을 우리가 어떻게 해줄 수있느냐"면서 "이 대통령이 제시한 그랜드바겐도 단순히 북한의 안전을 보장한다는내용"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남북 정상회담은 이제 양측 지도자의 결단만 남았다고 볼 수 있다"면서 "상반기 중 남북정상회담이 성사돼 북한이 비핵화에 원칙적으로라도 동의할 경우6자 회담 재개의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