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국악원은 내달 4-5일 서초동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고려 시대 이후 단절 없이 900여년 간 전승되어온 문묘제례악 전곡 연주회를 펼친다. 문묘 제례악 전곡 연주가 국립국악원 무대에서 펼쳐지는 것은 2002년 11월 첫 공연 이후 8년 만이다.
중요무형문화재 제85호 석전대제로 지정된 문묘제례악은 공자를 비롯해 증자, 맹자 등 유교 성인과 우리나라 유학의 대가 설총, 안향, 정몽주, 이이, 이황 등 총 39인의 신위를 모신 사당에서 제사를 지낼 때 연주하는 음악과 춤을 가리킨다.
고려 예종 11년(1116년) 중국 송나라에 갔던 사신들이 돌아오면서 대성아악을 들여온 것이 효시가 되었으며, 조선 세종 때 박연이 중심이 된 학자들이 공자가 살던 주(周)나라 제도에 가깝게 아악을 정비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중국 상고 시대에 기원을 두고 있지만 본고장 중국에서는 이미 사라지고 현재 한국에만 남아있으며, 매년 봄, 가을 성균관 대성전에서 열리고 있다.
난잡하지 않고 화평정대해야 하는 아악의 특징에 따라 장식음이 없고 단순하면서 규칙적으로 일정한 길이의 음을 뻗다가 끝을 살짝 들어올려 여미는 것이 음악적 특징이다.
국립국악원 정악단, 무용단이 함께 꾸미는 이번 무대에서는 기존 악기를 보완해 국립국악원이 새로 제작한 지, 적, 약, 소 등 관악기가 사용되고, 관객 중심으로 무대를 배치해 제례 절차와 제례에 사용하는 제기, 제수, 복식 등을 가까이에서 볼 수 있도록 한다.
8천-1만원. ☎02-580-3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