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혜선, 배우… 감독… 소설가… 거침없는 변신

연출데뷔작 '유쾌한 도우미'로 일본 영화제 나선 구·혜·선

"그냥 이전 그대로 배우로 만족하며 살아갈수도 있었죠. 하지만 내게 충실하고 싶었어요. 내 삶을 누가 대신 살아주는 게 아니잖아요."여배우로서 황금기라고 할 수 있는 26살의 구혜선에게 지난 1년은 변신의 연속이었다.

 

2008년 촬영해 놓은 단편 영화 데뷔작이 빛을 봤으며 내친김에 장편 영화 '요술'을 연출하며 사람들의 머릿속에 '감독 구혜선'이라는 이미지를 심었다.

 

그뿐만 아니다. 소설 '탱고'를 출간하며 소설가가 됐으며 발표회를 통해 일러스트레이터와 작곡가라는 명함을 추가해 넣었다.

 

마침 TV 드라마 '꽃보다 남자'가 시청률 대박을 터트리며 배우로서 한창 이름을날리던 게 1년 전의 상황. 감독 변신의 부담감 없이 그저 '잘 나가는' 연기자로만 생활했어도 잃을 것은 없는 상황이었다.

 

단편 연출데뷔작 '유쾌한 도우미'를 가지고 일본 홋카이도에서 열린 유바리 국제판타스틱영화제에 참석 중인 구혜선에게 '신인 감독'으로서 솔직한 포부를 들었다.

 

그는 "영화라는 게 우열을 가리는 게 아니라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것이라는 생각에서 부족하지만 용기를 내 연출을 하게 됐다"고 감독 변신의 계기를 밝혔다.

 

--유바리 영화제에 온 소감을 말해달라.

 

▲마을 전체가 동네 잔치를 하는 분위기라서 친근하고 정이 간다. 영화제에 오기 전에는 어려운 자리일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막상 와보니 축제 분위기를 즐기게 되는 것 같다.

 

--'요술'의 촬영은 잘 마무리 됐나.

 

▲21일 크랭크업 해 25일 영화제에 왔으니 촬영 끝나고 바로 일본에 온 셈이다.

 

조금 머리를 식히는 시간도 필요하고 해서 영화제에 참석했다.

 

한국에 돌아가면 바로 편집을 시작해야 하니 쉬고는 있지만 머리가 복잡하다.

 

아직 머릿속에 촬영의 잔상이 남아있다. 어떤 장면을 어떤 식으로 편집해야 하나 하는 생각을 하다보면 밤에 잠이 안오기도 한다.

 

--배우 이외에도 감독, 소설가, 작곡가, 일러스트레이터 등으로 쉴 틈 없이 바쁜 시간을 보내고 있다.

 

▲(일) 중독인 것 같다.(웃음) '유쾌한 도우미'도 사실은 드라마 '최강칠우'에서 연기하던 중 잠시 짬을 내 3일간 촬영한 것이다. 소설도 '꽃보다 남자'에 출연하면서 쓴 것이다.

 

쉴 틈 없이 바쁜 게 좋다. 나는 일을 계속 해야 즐겁게 살 수 있는 그런 사람인것 같다. 일 없이 쉬기만 하면 왠지 사회에 쓸모 없는 인간이 되는 느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