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원건설 사실상 '퇴출'…건설업계 부도공포 확산

신용등급 D…사측 "법정관리 신청여부 검토"

"A건설이 자금난 때문에 보유 토지를 수도권에 내놓았다. 사채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하려고 하는데 쉽지 않다""B건설은 사채를 조달해 근근히 버티고 있다. 신규 PF를 추진하지 못해 자금난에 시달리고 있다""C건설은 일부 사업이 정리되는 대로 회사를 정리하려고 한다"

 

도내 일부 건설업체들이 연초부터 유동성 위기에 휘말리면서 업계에 '부도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도내 중견업체인 예림과 광진건설이 연초 잇따라 부도처리된데 이어 성원건설이 사실상 퇴출에 해당하는 D등급을 받으면서 위기감이 더욱 커지는 모습이다.

 

지난 1월부터 성원건설에 대한 실사를 벌여온 외환은행 등 채권단은 8일 오후 성원건설에 신용등급 D등급을 부여했다. D등급은 사실상 퇴출에 해당한다.

 

이에따라 회사측은 내부 검토를 거쳐 조만간 법원에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할 것으로 보인다. 회생절차가 개시되면 채무상환 유예 등을 통해 정상화가 추진되지만 회생계획이 미흡하다고 판단할 경우엔 청산작업이 시작된다.

 

회사측 관계자는 "법정관리를 신청할 것인지 아직 결정되지 않은 것으로 안다"면서 "경영진이 내부검토를 통해 자력회생할 것인지, 법정관리로 갈 것인지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도내 1위 업체인 성원건설의 퇴출판정이 자칫 연쇄도산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금융권이 내달부터 신용공여액 500억원 이상 기업에 대한 정기신용위험평가에 착수하면 업계 구조조정이 본격화될 것으로 업계는 우려하고 있다. '4월 대란설'과 '6월 대란설'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실제 성원건설 외에도 도내 일부 업체들이 부도 루머 명단에 휘말리고 있으며, 아예 회사를 정리할 것이라는 업체의 이름도 오르내리고 있다. 이들 업체들은 주로 주택부문에 주력하면서, PF로 조달한 자금 상환이 다가오거나, PF자금 조달 차질로 신규 분양 계획을 수립하지 못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문제는 자금 및 경영상 차질이 없는 일부 업체들도 흉흉한 소문에 휘말리고, 이 때문에 오히려 유동성 위기에 내몰리고 있다는 점이다. 근거없는 악성루머가 확산될수록 금융권 등 자금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하기가 어려워질 뿐 아니라, 기존 대출까지 상환독촉에 시달려 타격을 받기 때문이다.

 

악성루머에 시달리는 한 업체 관계자는 "경기침체로 일부 자금조달이 쉽지 않은 것은 사실이지만 조만간 신규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일부 '소설가'들이 지어낸 악성루머에 불과할 뿐인데, 이 때문에 해당업체는 곤혹을 치를수 밖에 없다"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