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이날 오전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7부(김형두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 공판에서 2006년 12월20일 총리공관에서 이뤄진 오찬 참석자를 사전에 한 전 총리와 의논했느냐는 검찰의 질문에 "오찬 참석 전에 강동석 전 장관과 곽영욱 전 대한통운 사장이 참석한다는 것을 몰랐다"며 이같이 말했다.
검찰은 '산자부 장관 퇴임을 기념하는 자리인데 주인공에게 참석자를 알리지 않는 것이 자연스럽지 않다'고 따졌고, 정 대표는 "점심을 베푸는 것을 그렇게 대단한 일로 생각하지 마라"고 응수했다.
그는 "다른 참석자를 보고 당혹스럽거나 주인공(정 대표)에 대한 결례라고 생각하지 않았느냐"는 물음에는 "그런 생각을 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정 대표는 한 전 총리에게 퇴임 전 보고를 한 12월12일 이후 오찬 전까지 따로 통화한 기억이 없다고 밝혔고, 검찰은 기억이 없다는 것이 그런 일이 없다는 것인지 아니면 기억이 명확하지 않다는 의미인지 거듭 확인을 요구했다.
검찰은 또 "이원걸 당시 산자부 2차관에게 곽 전 사장을 석탄공사 후보로 검토하라고 지시한 것이 사실이냐"는 물었고, 정 대표는 "그렇다. 단수 추천이 아니고 후보의 한 명으로 검토하라고 했다"고 답했다.
정 대표는 "곽 전 사장만 총리, 주무 장관과 식사한 게 다른 후보에게 알려지면 오해를 사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임명직이라면 오해의 소지가 있겠지만, 공모를 통해 면접과 추천위 심사를 거쳐 복수의 대상자를 선정하고 해당 기관에서 산자부에 보고하면 청와대에 보고한다. 큰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답변했다.
오찬 당시 한 전 총리에게 곽 전 사장을 석탄공사 사장 후보로 추천했다는 얘기를 했느냐는 질문에는 "굳이 할 일이 없다. 인사문제를 다니며 동네방네 얘기하지 않는다"고 했다.
대한통운은 해양수산부나 건설교통부와 관련이 있어 정 대표가 잘 모르지 않느냐는 물음에는 "정치 입문 전에 16년간 기업에서 일해 실물경제를 잘 알고 산하 기관의 CEO(최고경영자)를 구하는 것은 내 임무였으며 적자상태이던 석탄공사에 좋은 CEO를 임명해 정상화하는 것은 인사청탁이나 시혜와는 다르다"고 강조했다.
정 대표는 2000년에 곽 전 사장이 당시 동아건설 회장의 요청으로 후원금을 가지고 찾아왔고 그 돈은 합법 후원금으로 처리했다며 곽 전 사장을 알게 된 경위를 설명했다.
검찰은 이날 정 대표의 답변에 대해 "한 전 총리의 주장대로 당시 오찬이 산자부 장관 퇴임을 환송하는 자리였다면 주인공과 참석자를 의논해야 하는게 상식"이라며 "총리공관 모임의 성격이 분명해졌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