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공로연수제가 오는 8월초로 예정된 하반기 정기인사에 반영될 지 여부가 관심사다.공로연수제가 적용되면 2자리에 불과한 사무관급 이상 승진요인이 최대 5자리까지 늘어나, 그 만큼 승진에 기대를 거는 공직자들이 많아지기 때문.
정작 올 12월로 예정된 퇴직자들의 심중은 모두 굳혀져 있지 않다. 하지만 자치단체장의 재량에 따라 공로연수계획을 수립·시행할 수 있는 근거(지방공무원 임용령) 때문에 퇴직자들의 의중은 의중에 불과할 전망이다.
군 수뇌부들도 정년보장과 업무 연계선상 등의 원칙에 따라 잠정 중단했던 공로연수제와 관련해 후진양성과 직원 사기진작 차원을 위해 불가피한 판단으로 선회, 공로연수제 부활은 사실상 기정사실화되고 있다.
하반기 인사가 이뤄질 8월 초께 공로연수제가 반영될 것으로 보고 있는 군 수뇌부는 이미 퇴직예정자들과 접촉, 의중을 묻고 적용여부를 저울질하는 등 사전정지작업까지 마친 상황이다.
전해진 바로는 (공로연수제를 받아들이기로) 심중을 굳힌 반우정 기획재정실장과 달리, 나머지 이수철 재난관리과장과 장서권 마령면장은 아직 마음의 준비를 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렇다면 이들 퇴직예정자들이 퇴직일까지 남은 5개월가량 공로연수에 들어가면서 받지 못하는 수당은 얼마나 될까. 기본급을 제외한 복리후생비(시간외 수당, 정액급식비, 교통보조비 등)조로 1개월에 80만원 안팎에 이를 것이라는 분석이다.
"퇴직예정자들 입장에서야, 정년을 채우고 나가는 게 경제적인 측면 등에서 합리적일 수는 있겠지만, 치고 올라오는 후배들을 위해 때가 되면 나가주는 선배로서의 아량도 갖출 필요성이 있다"는 게 군청 안팎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뿐만 아니라, 인사를 단행하는 수뇌부들 역시 8명밖에 포진시킬 수 밖에 없는 2자리의 승진요인보다 최대 20배수까지 가능한 5자리의 승진요인을 내심 바랄 수 있는 점도 공로연수제 부활에 힘을 실는 결과로 비쳐지고 있다.
진안군 관계자는 "이렇다할 교육·연수 프로그램이 없는 현 공로연수제를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면서 "사회 준비기간 등을 예비할 수 있는 공로연수자만을 위한 공간(사무실)마련도 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한편 만 60세가 정년인 5급 이상 간부들과 달리, 6급 이하는 58세로 정년이 돼 있는 가운데 6급 이하의 경우 2012년까지 59세로, 2013년에는 60세로 정년을 점차적으로 늘려 5급 이상 간부급 정년에 맞출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