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환경] 생명 품은 새만금 매립현장

비응항 맞은편 산단 조성지, 쇠제비갈매기 수천 쌍 둥지 틀어…일부 썩은 알…말라죽는 경우도

매립 공사가 한창인 척박한 땅위에 둥지를 튼 쇠제비갈매기의 정상적인 알(좌)과 갓 부화한 새끼 두마리가 어미를 부르고 있다. 안봉주(bjahn@jjan.kr)

쇠제비갈매기 수천 마리가 날았다.

 

'어디서 왔지? 허허벌판뿐인데….'

 

6월 24일 새만금 방조제 군산 비응항 맞은편. 새만금군산경제자유구역 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매립 공사가 한창이었다.

 

나무 한 그루 없는 공사장이어서 여름 뙤약볕 아래 썩은알도 적지 않았고(좌) 갓 부화한 일부 새끼들은 말라 죽는 경우도 있다. 안봉주(bjahn@jjan.kr)

덤프트럭이 무시로 오갔다. 흙더미가 군데군데 보였다. 갯벌을 덮을 흙이었다. 아무 생명도 없을 것 같은 척박한 땅 위에 쇠제비갈매기 수천 쌍이 둥지를 튼 것이다.

 

쇠제비갈매기 둥지는 어른 손바닥만했다. 얕게 파인 바닥은 잔 자갈이 깔려 있었다. 알은 대개 2∼3개였다.

 

알을 품은 놈, 알을 깐 놈, 물고기를 물어다 새끼에게 주는 놈, 아장아장 걸어다니는 놈…. 매립장은 어느새 '쇠제비갈매기 세상'이었다.

 

빛이 있으면 그림자도 있는 법. 곳곳에 죽은 새끼들이 말라 비틀어진 채 널브러져 있었다. 썩은 알도 적지 않았다. 나무 한 그루 없는 공사장에서 새끼들이 햇볕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은 거의 없었다.

 

그래서일까. 어미와 아비 새들은 제 몸으로 그늘을 만들어 새끼를 품었다. 이를 아는지 모르는지 새끼들은 제 부모는 아랑곳없이 잡아 온 물고기만 보고 주둥이를 벌렸다.

 

여름새인 쇠제비갈매기는 몸길이가 28㎝ 정도로 주로 바닷가 자갈밭이나 강가 모래밭에 떼 지어 둥지를 튼다. 우리나라 전국에 서식하며, 4월 하순부터 7월까지 2∼3개의 알을 낳아 20∼22일 동안 품는다. 주로 물고기를 잡아 먹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