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의 향기] 중견 소설가 이병천 새 장편 '에덴 동산을 떠나며'

이상향에 대한 진지한 사유…인간본성의 여러 근원 성찰

모악산 서쪽 능선 아래 금산 땅의 비류동과 황지동 자락. 사람들이 '에덴 동산'이라 부르는 다솜터 공동체마을이 있다. 다솜터는 사업가 서평재가 이상향을 그리며 건설한 일종의 낙원 프로젝트. 초가집 한 채를 배정받아 다솜대학에서 철학을 강의하게 된 구문보는 그 곳에서 인간 본성의 여러가지 근원에 대한 고민도 커진다. 그러는 사이 촌장의 딸 오초혜와 인연을 맺게 되고, 남녀가 가정을 꾸리는 것이 금지돼 있는 다솜터에서 그들은 선악과를 따먹은 아담과 이브가 된다.

 

아름답고 깔끔한 문체를 가진 중견 소설가 이병천. 그가 꿈꾸는 에덴동산은 어떤 곳일까?

 

그의 새 장편소설 「에덴 동산을 떠나며」(문학동네)는 이상향에 대한 진지한 사유다.

 

"언젠가 때가 되면 참으로 그렇게 하고 싶던 날들이 있었다. 산중에 숱한 집을 지어다가 부수고 다시 짓고, 아는 얼굴들을 추려 집 한채씩 지어주었다가 빼앗은 다음 도로 내주고, 화페를 발행했다가 찢기도 하고, 가상의 내 공화국에서 필요한 가치가 무엇이어야 하는지 순서를 정해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보기도 하고… 말하자면 이상사회를 그려보곤 했던 것이다."

 

그는 "그 때 차마 실현시키지 못했던 꿈을 소설로 세운 작품"이라며 "에덴의 설화 이후 시도됐던 수많은 파라다이스들이 덧없이 스러져야 했던 역사적 사실도 내 창작열에 불을 지핀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에덴 동산을 떠나며」는 1년여의 구상작업을 거쳐 2007년과 2008년 한 지방일간지에 연재했던 것. 구문보의 시각으로 보는 다솜터는 김제시 금산면 금곡리 동곡마을과 그 산자락 일대가 모델이 됐다. 이 곳은 증산교 창시자인 강증산이 약방을 열었던 곳이며, 조선 중기 문신 겸 사상가인 정여립이 활동했던 곳이기도 하다.

 

이상향과 함께 이 소설을 지탱하는 또하나의 축은 사랑. 결국 서로에게 빠져들 수밖에 없었던 구문보와 오초혜를 통해 어쩔 수 없이 위험한 낙원을 쫓는 인간의 모습을 그렸다. 이상향과 욕망은 함께 할 수 없는 것일까. 제목이 「에덴 동산을 떠나며」가 된 것에 대해 그는 "내가 그려 보인 사회도 완전하지 않은 듯" 해서라고 설명했다.

 

전주에서 태어나 전북대 국문과를 졸업한 그는 1981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시가, 1982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소설이 당선되면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인상적인 첫 소설집 「사냥」에서부터 중편집 「모래내 모래톱」, 수준 높은 무협역사소설이라는 평을 받은 「마지막 조선검 은명기」, 타고난 이야기꾼으로서의 기량이 유감없이 발휘된 「저기 저 까마귀떼」 등 작품마다 단단한 구성과 유연한 흐름을 통해 삶의 깊이를 보여줬다. 현재 전북작가회의 회장도 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