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장 공모제 특정 성향 인물뽑기?

근무 희망지 7곳까지 선택가능 교육감 주관 개입 소지 커…3배수 압축과정 변수 클 듯

김승환 교육감의 첫 교육장 공모제가 해당 지역 등을 사전에 정해놓지 않고 추진돼 투명하고 객관적인 검증보다는 주관성이 개입할 소지가 크다는 지적이다. 자격심사 기능에 그쳤던 이전 교육감때와 근본적으로 달라진 것이 없어 '인사개혁'치고는 졸속이 우려된다는 평가다.

 

또 이전과는 달리 공모 지원자들이 근무희망지를 7개까지 선택할 수 있도록 개정, 특정 지역에 걸맞는 인물보다는 특정 성향의 교육장을 모집하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나오고 있다.

 

전북도교육청에 따르면 9월 1일자 교육장 임용후보자 선정을 위한 교육장 공모를 실시한 결과 초등 30명, 중등 23명 등 모두 53명이 접수를 마쳤다. 도교육청은 이에따라 오는 12일 공모심사위원회를 열어 임용예정자의 3배수를 선정, 교육감에 추천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교육청 안팎에서는 "어느 지역 교육장이 교체대상인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응모자들이 7곳의 희망지역을 써넣은다는 것은 무리"라며 "3배수 압축작업에 너무나 많은 변수가 도사리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응모자에 따라 교체대상 지역이 바뀔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 무려 53명의 지원자를 대상으로 공모심사위원회가 하룻동안 서류 및 면접심사를 마무리하는 것은 무리가 많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심사항목은 교육청 경영제안서(30점)와 직무수행 능력 및 주요 활동실적(20점), 기초기본 역량(20점), 자질 및 태도(20점)이다.

 

도교육청의 한 공무원은 "10명의 교육장을 공모하는데 30명을 추천하는 것이나, 1~2개 자리에 10여명을 추천하는 것이나 무슨 차이가 있겠느냐"며 "전임 교육감의 교육장 공모제를 비판하고 나섰지만 결국은 똑같이 가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한편 도교육청은 이번 교육장공모심사위를 구성하면서 기존의 8명이던 외부위원을 11명으로 늘렸다. 학부모 또는 시민사회단체 추천자를 2명에서 4명으로, 현장교육전문가를 2명에서 4명으로 각각 늘리고 언론인 1명을 제외한 것. 또 그동안에는 교육장의 임기를 제시하지 않았지만, 이번 공모에 따라 임용되는 교육장은 임기를 2년으로 하되 업무수행 능력에 따라 임기를 단축하거나 연장할 수 있도록 했다.

 

한편 오는 9월 1일을 기준으로 전주와 진안교육장은 임용된지 6개월, 군산교육장은 1년 6개월이 되며, 그 밖의 지역은 모두 2년이상이어서 대폭적인 교육장 교체가 예상되고 있다.